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전 과정평가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의 음식물쓰레기는 연간 488만 톤이 발생하고 사료화와 퇴비화로 재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때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의 폐수는 고농도의 폐수로서 331만 톤이 발생하는데 현재 54%는 해양투기로 처리하고 있다.

○ 우리정부에서는 해양투기 중인 음식물쓰레기의 폐수에서 50%인 일일 899만 톤을 에너지자원화 하기로 했다. 2012년까지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11개소에 일일 2,690톤 처리의 시설을 처리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고효율 액상화, 혐기소화 및 자원 재활용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 이 글은 일본의 가정에서 배출하는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를 위해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인 퇴비기, 전기처리기를 보급하고 있는데 각 처리방안별로 전 과정평가를 하여 최적시스템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주택사정이나 분리수거의 주민협력 등 지역사정에 따라 달라지므로 지역실정에 맞는 최적시스템을 선택하도록 권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분리수거율은 90%를 넘고 있어서 많은 음식물쓰레기는 별도로 수거되고 있다. 그러나 각 가정에서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는 부분적으로 압축시켜 배출하거나 소형 전기건조장치가 보급되고 있으나 대부분은 그대로 배출하고 있다.

○ 음식문화가 습식이어서 많은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는 우리나라로서는 처리에 어려움이 많다. 특히 우리 음식물쓰레기는 염분과 수분이 많아서 사료화나 퇴비화에서도 일정한 농도까지 물세척이 불가피하고 그에 따라 폐수도 많이 발생하게 된다.

○ 따라서 가능한한 가정에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한 가정용 퇴비기나 전기건조기 등의 보급이 본격적으로 확대되기 전에 지구온난화와 산성화 등을 포함한 전과정 환경영향평가를 통해서 지역특성에 적합한 시스템이 보급되도록 유도해야 하겠다.
저자
Yuhong LIU and Kayoko KOND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8
권(호)
19(2)
잡지명
廢棄物學會論文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0~119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