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리적 특성을 고려한 바이오매스 가스화로 메탄올 생산

전문가 제언
○ 본문은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가스화한 합성가스로 메탄올을 합성한 바이오-메탄올의 경제성을 여러 조건에서 서로 비교 검토한 것이다. 이 비용 분석에는 바이오매스 생산과 운반에서 시작하여 메탄올의 소비자에게 배포까지 메탄올 공급 사슬 전반이 포함된다. 그 결론인 공장 효율, 원료비용과 공장 가동시간이 원가에 미치는 영향은 잘 알려졌고 본문의 결론도 알려진 바와 크게 다르지 않다.

○ 그러나 본문이 그 중 지리적 조건을 분석 대상에 포함한 것은 매우 특징적이며 흥미있는 분석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밀도가 매우 낮은 바이오매스의 운반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고 액체인 메탄올 운반이 경제적으로 더 유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오매스 운반은 50km가 넘으면 경제성을 상실한다는 주장도 있다. 따라서 메탄올 공장은 소비지보다 원료인 바이오매스 공급지에 가까운 것이 더 경제적으로 믿어왔다.

○ 그러나 본문의 결론은 그 반대이다. 즉 바이오매스 생산지에 가까운 A 공장에 비해 소비지에 인접해 있는 B 메탄올 공장이 같은 조건에서 최종 메탄올 비용에 경제성이 높은 것은 의외의 결과이다. 이것으로 도로 등 기반시설이 공업에 미치는 영향을 읽을 수 있을 것이다.

○ 그러나 바이오매스 생산 지역의 도로 사정이 매우 불량하다고 가정한다면 경제성 외에 다른 사회적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바이오매스 다량 수송에 따른 도로의 용량 잠식 또는 포화 문제와 이에 대한 주민의수용 한계도 고려해야 한다. 공장을 바이오매스 생산 지역에 건설하고 제품화된 메탄올을 수송한다면 이 문제는 피할 수 있다.

○ 본문에 같은 지리적 조건에서 천연가스 메탄올 생산 사슬과 본문이 취급한 바이오매스 기반 메탄올의 경제성 비교를 포함했다면 매우 유익했을 것이라 믿어진다. 본문은 바이오매스 기반의 메탄올 공급 사슬이 재래식 천연가스 기반의 메탄올과 경쟁이 거의 가능한 것처럼 언급했으나 사정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재생에너지의 연료화는 경제성에서 보다 지구 온난화에 대응하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배출 절감에서 그 의의를 찾아야 하는 이유이다.
저자
Leduc, S., Schmid, E., Obersteiner, M., Riahi, K.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33
잡지명
Biomass and Bio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745~751
분석자
김*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