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환경 보존과 안전에 공헌하는 박강판
- 전문가 제언
-
자동차용 박강판은 품질 관리와 품질 보증 수준이 매우 높기 때문에 고급강의 대명사가 되고 있다. 박강판의 품질 혁신에 크게 기여한 기술로는 1970년대에 실용화된 연속어닐링공정과 1980년대에 청정강의 제조기술로서 정착한 「용선예비처리-전로정련-용강2차 정련」공정을 들 수 있다. 또 1990년대부터 발전해 온 합금화용융아연도금(Galvannealed)강판의 자동차 적용도 박강판의 품질 고급화에 기여하고 있다.
○ 자동차용 고급 강판의 대표적인 예로는 내외판 패널부품에 이용되는 EDDQ(Excellent Deep Drawing Quality)급의 극저탄소 IF(Interstitial Free)강, 도어나 보닛 등의 내덴트(dent)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담금질경화형 BH(Bake Hardenable)강, 차체골격의 강화에 이용되는 980MPa급 이상의 초고장력강을 들 수 있다.
○ 차체용 박강판의 개발에는 합금화용융아연도금(GA)의 품질이 중요한 요건이 된다. 최근에는 590MPa급 이상의 고장력강(HITEN)에도 GA강판이 요구되어 도금밀착성에 미치는 강화원소(Si, Mn, P 등)의 악영향을 경감시키는 기술, 도금부착량의 제어, 도금층의 상구조제어 등 아연도금공정에서의 엄격한 조업 관리와 품질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 자동차의 배기계통 부재로 스테인리스강이 사용된 것은 머플러에서 시작되었다. 현재는 배기가스의 온도 상승에 수반하여 촉매컨버터의 담체에 20Cr-Al계 스테인리스강이 사용되고 배기매니폴드에는 SUS430JIL강, SUS444강이 사용되고 있다. 또 원가 절감을 위하여 14Cr계 합금이 개발되었으며 촉매담체용에는 희토류를 첨가한 20Cr-5Al 스테인리스강이 실용되는 등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자동차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 HEV차량용 구동모터에는 투자율이 높고 철손이 적으며 포화자화가 높은 고효율 무방향성 전자강판이 사용된다. 전자강판의 특성 향상에는 고순도화, 결정방위제어, 결정입경제어 등을 통해서 자화곡선을 최적화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기이방성지수와 자왜(magnetic striction)상수가 적은 퍼멀로이합금, 비정질합금, 6.5%Si합금 등이 실용되고 있다.
- 저자
- Kohsaku Ushiod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8
- 권(호)
- 62(6)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2~18
- 분석자
- 심*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