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빌딩의 저탄소 에너지를 장려하기 위한 기획 시스템의 이용

전문가 제언
○ 이 보고서는 London Plan에 포함된 Greater London Authority의 에너지정책 성능을 위한 London South Bank 대학교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를 수록한 것이다.

○ 개발자들이 사업 승인을 위해 London에서의 개발이 규정된 에너지 효율과 재생에너지 목표를 충족하는 방안을 예증할 것을 요구한다. 재생에너지로 고려하는 주요 기술은 태양광 전지(PV), 태양열 온수, 지중 냉방, 지중 열펌프, 풍력터빈 및 바이오매스이다.

○ 이 연구에서는 재생에너지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배출 10% 절약이 정책을 도입한 1년 후부터 일상적으로 충족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산화탄소의 가장 큰 절약은 열과 전력의 복합사용에서 연유됨을 보여준다. 중앙집중식 발전소에서 발전한 전력을 국가전력망을 통하여 공급하는 전력은 발전소에서 1차 에너지의 50~70%가 저급의 열로 손실됨으로 비효율적이다. 장거리 송배전으로 손실은 더욱 커진다.

○ 에너지의 저사용 목적의 에너지 효율은 설계 공정의 초기단계에서 고려할 사항이라 하였고, 최초의 에너지 효율 설계가 다음에 설계변경을 하는 것보다 비용 효과적이고 더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빌딩 규정(영국과 웨일즈)2006은 신 빌딩이나 개보수 빌딩의 난방, 냉방 및 조명 항목에서 국가기준을 충족할 것을 규정하였다.

○ 우리나라에서도 도시 빌딩에서의 에너지 사용률이 도시화의 집중과 생활양식의 고도화로 날로 증가되고 있다. 빌딩에너지의 절약을 위한 열 병합발전은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난방공사에서 공급하는 난방과 온수공급가정이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100만 호에 미달한다.

○ 빌딩의 재생에너지 이용에는 전력망에 연결된 풍력발전과 태양광발전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우리나라에서도 풍력발전과 태양광발전이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열병합발전의 확대와 빌딩의 단열시공강화 등 에너지사용의 효율화와 가일층의 재생에너지 사용증대가 기대된다.
저자
A.R. Day, P. Ogumk, P.G. Jones, A. Dunsd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34
잡지명
Renewable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016~2021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