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강과 조류를 활용한 유체 동력 에너지 전환시스템의 기술현황 고찰

전문가 제언
○ 재래식 수력발전과 조력발전은 각각 강과 조수간만의 차가 심한 곳에 댐과 방조제를 구축하고, 그 안에 강물과 해수를 저장하였다가 수두에 의한 물의 동력을 활용하고 있다. 이에 비해서 유체 동력 전환시스템은 강의 수류나 바다의 조류 및 해류가 지니고 있는 동력을 기계적 전력으로 전환하는 시스템이다.

○ 바다의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한 조력발전의 경우 프랑스의 Rance 강 하구에 방파제를 건설하여 1966년 조력발전시설을 구축하였지만 높은 건설비와 환경파괴에 대한 우려로 인하여 더 이상의 진척이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화석연료의 연소로 인한 지구온난화문제로 인하여 CO2의 배출이 없거나 적어도 중립적인 재생에너지에 대하여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며, 자연히 조력발전자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 우리나라도 경기도 안산시의 시화호가 담수호로서 본래의 기능을 상실함에 따라 이를 조력발전소로 전환하는 공사를 하고 있다. 용량 254㎿의 이 조력발전소는 세계 최대 규모로서 방조제 바깥쪽에 밀물이 밀려와 수위에 차이가 생기면 그 수압으로 수차를 돌려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 특히 우리나라는 2009년 5월 14일 전남 진도의 울돌목에 시설용량 1㎿의 조류발전소 시범시설을 완공하여 현재 발전을 하고 있다. 이는 현재까지는 영국의 Severn 강 하구에 설치된 것에 이어 세계 2번째의 조류발전소이지만 규모로는 세계 최대 규모이며, 정부는 앞으로 이를 90㎿까지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 지역은 특히 조수가 거세어 계류용 구조물의 설치에 많은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이 발전소는 우리나라가 자체로 개발한 기술로 건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발전소에서 이 논문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덕트 보강수로와 같은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여 선진기술을 축적함으로써 우리 기술이 전 세계로 전파되어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저자
M. J. Khan, G. Bhuyan, M. T. Iqbal, J. E. Quaico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86(10)
잡지명
Applied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823~1835
분석자
이*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