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MicroRNAs: 새로운 면역조절 분자

전문가 제언
○ 직접 단백질로 번역되지 않는 다양한 종류의 RNA 분자를 non-coding RNA라 부르며 rRNA와 tRNA도 이 범주에 속한다. 최근에 유전자발현 조절 기능을 갖는 17~25nucleotides의 small RNA(sRNA)가 다수 발견되었다. sRNA는 hairpin 구조의 전구체 RNA에서 만들어지는 microRNA(miRNA)와 긴 이중나선 RNA(dsRNA)로부터 형성되는 small interfering RNA(siRNA)로 나눠진다.

○ MiRNA는 핵 안에서 primary miRNA로 전사된 후 Drosha라는 효소에 의해 60~90nucleotides의 stem-loop 구조의 pre-miRNA로 만들어지고, 이후 핵에서 세포질로 이동하여 Dicer라는 효소에 의해 절단되어 21~25nt의 성숙 miRNA가 생성된다. 이 과정의 주요 효소인 Drosha 및 보조효소로 작용하는 DGCR8의 동정과 관련 연구는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의 김빛내리 박사 연구팀에서 수행되어 왔으며 많은 좋은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어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 MiRNAs는 새로운 형태의 생체조절물질로서 다양하고 필수적인 생리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체의 발생, 세포분화, 세포사멸, 유전체의 안정성 유지 등의 생명현상의 필수적인 기능에서 핵심적인 조절작용을 수행하며, 지방대사, 발암작용, 염색질 응축, 유전자 재배열 등에도 관여한다는 사실이 보고되어 있다.

○ 면역반응의 조절은 면역세포가 만들어지는 조혈과정(haemopoiesis)에서부터 시작된다. 모든 혈액세포는 조혈모세포(haematopoietic stem cell)에서 다양한 사이토카인과 환경 조건에 의해 여러 가지 계열의 세포로 분화된다. 조혈모세포에서 발생된 림프계 전구세포는 B 및 T-세포로 분화되고 골수계 전구세포는 과립구, 단핵구, 비만세포, 거핵세포 적혈구가 분화되고, 단핵구는 혈액에서 조직으로 이동하여 대식세포로 변하고 거핵세포는 분해되어 혈소판으로 전환된다.

○ 최근에 miRNAs는 새로운 면역반응의 조절 분자로 밝혀지고 있으며, 특히 자가면역질환에서 이들의 관련성이 주목을 받고 있다. 많은 질병의 병인 기전의 해명과 치료 수단의 표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Claudia Carissimi,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8
잡지명
Autoimmunit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20~524
분석자
김*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