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L-Ascorbate-2-glucoside의 특성과 활용

전문가 제언
○ 아스코르브산은 탄소수가 6개인 탄수화합물로, 구조적으로는 포도당과 유사하다. 물에 잘 녹고 수용액은 불안정하며 산소가 존재하면 빨리 산화된다. 산화에 의해 dehydroascorbic acid가 되며, 더 산화가 진행되면 불가역적으로 diketogluconic acid와 항괴혈병 활성이 없는 다른 산화물로 바뀌므로 비타민 C로서의 효력을 잃게 된다.

○ 비타민 C는 인체에 대한 효용성에도 불구하고 불안정성 때문에 이의 실용화와 적용에 큰 장애가 되어 왔다. 특히 비타민 C 강화식품의 개발에 큰 제약이 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타개하려는 것이 이 분야의 오랜 숙원이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개발된 것이 바로 AA2-G(L-ascorbate 2-glucoside)이다.

○ 유효성과 안전성이 이 물질의 실용화를 위한 핵심적인 선결과제였다. 장기간의 검정실험으로 이 물질의 유효성과 안전성이 마침내 확인이 되어, 일본후생성은 2004년에 식품첨가물로 허가하였다. 일본을 넘어 국제적인 인정을 받으려면, 국제적 공신력을 지닌 미국 FDA의 허용 등이 필요한데, 아직 그러한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 최근에 AA2-G에 대한 많은 실용화 연구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것이 피부 분야이다. 까다로운 식품첨가물로 허가를 받기에 앞서, 허가 과정이 덜 엄격한 피부미용에 대한 실용화 연구가 활발하다. 이는 AA2-G가 tyrosinas의 활성을 저해해 멜라닌 합성을 억제할 뿐 아니라, 이미 생성된 멜라닌 색소도 환원시켜 피부를 담색화하기 때문이다. 이는 안AA2-G의 지속적 안정성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 AA2-G는 열 안정성뿐 아니라 ?에 대한 안정성이 높고, 단백질 등과 병용해도 가열로 인한 착색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등, 식품에 대한 가공적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러한 AA2-G의 다양한 장점들을 감안할 때, 식품 및 화장품 업계에서는 AA2-G의 국내 수입에 대한 대비책을 미리 세워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Mitsudumi Hitos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8
권(호)
50(12)
잡지명
NEW FOOD INDU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4~25
분석자
남*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