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링 기술의 현황 및 최근동향
- 전문가 제언
-
○ 최근 생산이력을 속여 식품안전을 저해하는 사고, 엘리베이터 또는 롤러코스터의 사고, 다리의 붕괴 등 대형사고가 자주 일어난다. 어떤 기계나 설비도 언젠가는 붕괴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을 얼마나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것인가 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이제는 소비자입장에서 싼값에 고성능을 구하는 시대로부터 안심과 안전을 구하는 시대로 변천하고 있다.
○ 교량이나 건축물의 경우 구조재의 노후화가 진행되고 수명이 짧은 생산설비도 정비를 통해 설비의 유지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되었다. 제조물책임법(PL : product liability)에 의해 제조자의 책임이 가중되고 진단 및 관리하여야 할 대상기기나 설비의 범위는 넓어지고 관리하는 기술자는 감소하기 때문에 기술자의 정신적 레벨 업과 함께 모니터링 기술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
○ 모니터링의 핵심기술은 센서자체의 기능향상과 함께 인터넷과 무선통신기술의 접목이 중요한 개발과제이다. 지금은 web브라우저만 이용할 수 있다면 인터넷을 통해 어떤 소프트웨어도 이용할 수 있으며 인터넷에 접속하기만하면 어떠한 처리도 가능한 유비쿼터스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설비진단과 관리도 원격운영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 진단기기의 범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규격을 통일하고 기술자 인증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예를 들어 PLC의 통신 프로토콜은 SCADA를 또 MCT에서는 오픈 NC의 규격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계측에서는 NI사의 PXI, 프로세스감시에서는 OPC를 채택 추진하고 있다. ISO에서는 기계 상태 감시 진단기술자 인증제를 제정하여 2004년에는 진동분야, 2008년에는 트라이보로지 분야의 기술자 인증을 시작하였다.
○ 우리나라도 계측과 진단기술의 혁신을 위해 연구학회를 중심으로 강연회 및 연구보고회 등을 추진할 것을 제안하며 사회 안전망 확보를 위해 사전에 모니터링 하는 인식의 확산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저자
- kawa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8
- 권(호)
- 60(11)
- 잡지명
- 機械の硏究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123~1128
- 분석자
- 나*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