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비만치료를 위한 내인성 AMPK의 조절

전문가 제언
○ 비만증은 몸무게가 지나치게 나가는 것을 통틀어 부르는 낱말로서 병리학적으로는 WHO에서 정한 이른바 표준몸무게 기준치(BMI: Body Mass Index)가 30이상인 경우에 비만증이라고 일컫는다. 비만은 그 자체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문제는 비만으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사회적 장애와 과다한 지방으로 생기는 2차적인 합병증으로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병, 지방간, 관절이상의 발생 비율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 AMPK는 세포의 에너지 준위를 모니터하는 센서역할을 하는 효소이며 지방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렙틴과 adiponectin의 세포내 신호전달 물질로서도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비만으로 기인한 인슐린 저항성의 발현과 깊은 관계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 최근 경북대 생명공학부에서는 국내산 천연식물에서 신물질 TG1022를 발견하였는데 이 신물질은 인체의 운동스위치 역할을 하는 AMPK 효소를 활성화하여 지방합성을 억제하고 체지방 감소를 촉진하며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를 나타내어 신개념의 다이어트로 추정되었다.

○ 그 동안 AMPK는 당뇨병 및 비만과 관련하여 신약표적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어 왔으며 AMPK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들이 국내외에서 개발 중이다. 이러한 연구에 필수적인 AMPK 유전자가 완전히 결손된 모델동물을 처음으로 확보함으로서 앞으로 AMPK와 관련된 질환인 암, 당뇨, 비만 등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연구가 수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 최근 워싱턴대학 의학부의 연구팀은 AMPK가 뇌의 성장과 유지에도 큰 역할을 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확인하였는데 마우스의 배아에서 AMPK가 중추신경계에서 신경 줄기세포의 성장에 필수적임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AMPK 활성을 조절하면 뇌의 기능과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생체기능에 관여하는 AMPK의 새로운 활성화제를 이용하여 노약자나 어린이에도 효과가 나타나는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는 새로운 비만치료제가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REDDYS LAB LTD DR, MISRA PARIMAL, CHAKRABARTI RANJAN, MADHURAREKHA CHINNABOINA, HASHAM SUMERA NIKHAT, POTLURI VIJAY KUMAR, SASMAL PRADIP KUMAR, DAS SAIBAL KUMAR, IQBAL JAVED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WO20090019600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2
분석자
신*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