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리제품의 실용성과 과학

전문가 제언
○ 유리는 그 역사가 아주 오래된 재료로서 일상생활에서부터 첨단 전자제품에까지 널리 많이 쓰이고 있다. 따라서 유리의 조성, 제품의 형태에 따라 수많은 유리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대량으로 생산되는 유리제품은 창유리 등의 판유리를 필두로 병유리, 식기 등의 용기유리와 단열재, 보강재, 광통신 등에 쓰이는 유리섬유가 대표적이다. 이 이외는 특수목적과 기능이 요구되는 소량 다품종의 제품으로 광학유리, 전자부품용 유리, 내열유리, 생체용 유리, 결정화 유리 등이 있다.

○ 판유리는 창유리로 사용되며 밖을 내다 볼 수 있으면서도 비와 바람을 막을 수 있는 건축재로서 일찍이 발명되어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자동차유리, 평면 표시 소자 등으로도 많이 쓰인다. 또한 음식물의 저장 등에 사용하는 병, 식기 등의 용기유리는 식품을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해 일찍부터 사용되어 왔다. 타 제품보다 비교적 최근 생산이 시작된 유리섬유는 이중 단섬유가 단열재로 공업용, 건축용으로 사용된다. 유리장섬유는 강화플라스틱의 보강재로 사용되어 모든 산업에 구조재로부터 전자제품의 인쇄회로 기판으로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이 문헌에서는 대량 유리생산 제품의 실용성을 결정하는 물성과 특색에 대하여 종래의 연구를 되돌아보면서 취합하여 설명하고 있다. 즉 이론적인 가정, 강도의 전반적인 고찰, 화학안정성 및 유리의 부식, 유리의 광학특성 등이 언급되었으며 판유리, 용기유리, 유리장섬유의 물성과 특성의 측정치가 소개되고 있다.

○ 한국의 유리산업 중에서 대량생산 제품인 판유리, 용기유리, 유리섬유 등은 모두가 선진국의 기술과 설비를 도입하여 국제적인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더욱 발전을 위해서는 기본적인 기초연구를 등한시하지 말고 연구하여 자력으로 독창적인 제조기술을 만들어야 하겠다. 유리의 기본물성과 특성은 항상 연구되어야 하며 이런 바탕에서 도입된 기술을 정확히 이해하고 새로운 기술이 창출된다고 생각된다.
저자
N.I. Minko and V.M. Nartsev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8
권(호)
65(5)
잡지명
Glass and Ceram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48~153
분석자
김*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