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도의 바이오매스 가스화발전 CDM 사업의 경제적 잠재력

전문가 제언
○ 바이오매스 가스화시설은 다양한 규모의 시설이 가능하고 다양한 종류의 유기물질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이오가스를 열병합발전에 직접 이용할 수 있고 일정 규모 이상의 시설에서는 합성공정을 통하여 각종 화합물이나 바이오연료를 생산할 수도 있다.

○ 그러나 아직까지는 바이오매스 가스화시설을 이용하여 열과 전기를 생산하는 분야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농촌마을 등에서 바이오매스 원료를 대량으로 공급할 수 없는 경우에는 500kWe 이하의 바이오매스 가스화 열병합발전이 유망한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 개발도상국의 농촌마을은 농업 잔류물의 바이오매스가 많이 생산되며 이들을 원료로 바이오매스 가스화발전을 도입하면 전기 공급뿐만 아니라 폐기물 감소와 퇴비 생산 등의 장점이 있고 특히 CO2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어 지속 가능한 개발을 향상시킬 수 있다.

○ 그러나 바이오매스 가스화발전은 고비용이기 때문에 이를 보급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재정적인 인센티브와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CO2 배출량 감축사업은 청정개발체제(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 사업으로 개발하여 추가적인 재정적 인센티브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바이오매스 가스화발전 사업도 CDM 사업으로 개발하는 것이 좋다.

○ 이 자료는 농촌마을의 전기 도입이 국가적 과제가 되고 있고 농업 부문의 바이오매스 생산량이 막대하여 바이오매스 가스화발전의 개발여건이 좋은 인도를 대상으로 과거의 바이오매스 가스화발전 프로젝트 개발 경험과 인도의 바이오매스 잠재력을 반영하여 바이오매스 가스화발전의 CDM 사업 잠재력과 경제적 효과를 평가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목질계 바이오매스 가스화기술이나 바이오수소 생산 분야는 아직까지 기초연구단계에 있다. 또한 농촌마을의 소규모 바이오매스 가스화발전 사업도 일부 가축분뇨를 원료로 하는 시범사업이 개발되고 있지만 순조롭지가 않다. 이들 기술의 이용 확대를 위해서는 정부의 강력한 중장기적 기술개발 투자가 필요한 실정이다.
저자
Pallav Purohi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17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81~193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