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용액 중의 양친매성 고분자

전문가 제언
○ 많은 형태의 수십 ㎚ 크기의 나노 운송체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고분자 미셀, 고분자 베이스 나노입자와 리포솜 등이다. 이상적으로는 이들 나노 운송체는 혈관 계통을 통하여 안전하게 원하는 목표 지점에 온전한 약물 함량으로 도착한 후, 다른 부작용 없이 병든 세포와 조직과 선택적으로 반응해야 한다. 최근 양친매성 공중합체를 의약 및 약학 분야로 응용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소수성기로 개질한 다당이나 폴리아민을 다수 합성하여, 그 회합체인 나노겔에 대하여 기초부터 응용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연구가 전개되고 있다.

○ 동일 고분자 분자사슬 내에 친수기와 소수기를 동시에 함유하는 양친매성 고분자(amphiphilic polymer)는 지난 20년 이상 관심의 대상이 되어 오고 있다. 이들 고분자는 특히 수용액 시스템에서 특별한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본 문헌에서는 양친매성 랜덤 및 블록 공중합체와 텔레킬릭 고분자가 수용액 중에서 취하는 구조, 특성, 기능 등의 최근 연구 활동에 대하여 살펴본다.

○ 최근 치료가 필요한 조직에 보다 정확한 타깃으로 효과적인 약물 전달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치료 효과의 발전은 분자 레벨에서 질병의 영향에 대해 생물학적, 화학적으로 보다 이해가 증진되었고, 새로운 치료의 개념이 도입됨과 동시에 우수한 약물 나노 운송체의 디자인으로 약물을 투여할 수 있게 된 때문이다. 고분자 나노 운송체 제조는 합성고분자 엔지니어링 덕분이다.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물의 자기 회합을 활용하여 종양 조직에 도달한 후 약물이 선택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 고분자 의약을 포함한 바이오고분자재료에 대한 연구가 최근 매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합성유전자 운송체, 생분해성 바이오엔지니어링, 재생의료재료, 인공적혈구, 생체적합성 재료, 펩티드 공학, DNA 필름, DNA 칩, DNA 컴퓨터, 바이오 모사(模寫) 재료, 고분자 겔, 인공 단백질, 생체 고분자 나노머신 등 다양한 응용분야를 향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의학, 약학, 고분자 화학 등 다양한 분야가 융합된 복합기술로서 그 발전 가능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
저자
Akihito Hashidzume, Takahiro Sa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58(3)
잡지명
高分子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46~150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