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속철에 대한 어떤 정형화된 실상: 전세계 고속철 경험에 대한 고찰

전문가 제언
○ 본 연구는 전 세계에 걸쳐서 166개 HSR 프로젝트를 데이터베이스화 했다. 이 중 45개 프로젝트만이 비용 구축을 비교할 수 있었다. 그 중 40개(24%) 프로젝트는 이미 운영 중에 있고, 41개 프로젝트는 현재 건설 중에 있었으며, 85개 프로젝트는 계획단계에 있었다. 비록 이들 가운데 어떤 프로젝트는 2015년까지 완료되지는 못하지만 운영 및 건설 중에 있는 프로젝트는 총 길이 16,400km에 달했다.

○ European Council Directive(유럽 위원회 지침) 96/48은 특별히 고속기반은 세 가지 다른 형태를 포함한다고 설정했다. 즉, (1) 250km/h보다 같거나 큰 고속철을 구축한다. (2) 200km/h 속도로 장비된 재래철도를 상향 개량한다. (2) 지형학적, 구조 또는 도시계획 제약의 결과로 경우에 따라서 속도를 내는 특별한 형태로 발전하는 재래철도를 상향 개량 한다는 등이다.

○ 45개 프로젝트에 대해 km당 건설비용은 6백만에서 4천5백만 사이로 다양했다. 중국을 제외하고 아시아에서 HSR 구축은 유럽보다 비용이 덜 들었다. 유럽에서 프랑스와 스페인이 독일, 이탈리아, 벨기에보다 구축비용이 약간 낮았다.

○ 일본은 1965년에 신칸센(Shinkansen)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유럽 경우에 각 국가들이 그들 자신의 특정 기술로 HSR을 개발하여 교통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프랑스는 TGV 계열 및 THALYS를 사용하고 있고, 이탈리아는 ETR 계열, 독일은 ICE 계열, 그리고 스페인은 AVE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프랑스 TGV가 유럽 고속철 승객 수송의 70%를 점유하고 있다.

○ HSR에 대한 수요 양상은 논란의 여지가 없다. 유럽은 2005년에 76억 승객-km를 기록했고, 일본 신칸센은 2005년까지 누적 150억 승객-km 이상을 수송했으며, 한국은 고속철을 설치한 지 2년 만에 국내 항공 수송을 추월하여 연간 5천만 명 이상을 수송하고 있다. 앞으로 10년 내지 20년간 계속 성장할 전망이다.
저자
Javier Campos, Gines de Ru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9
권(호)
16
잡지명
Transport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9~28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