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소기업에 대한 EH 연구프로그램과 주요국의 대표적 사례: 프로젝트, 연구·혁신전략 및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전문가 제언
○ 이 글은 “중소기업에 대한 EU 연구프로그램과 주요국의 대표적 사례-프로젝트, 연구·혁신전략 및 지원체계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하고 있다. 구성은 머리말, 독일의 AnalytiCon Discovery GmbHm, 프랑스의 Exalead, 영국의 Fianium Ltd., 핀란드의 Lifa IAQ Ltd., 스웨덴의 Nordic Medcom AB, 스페인의 Conesa, 이태리의 Salumificio F.LLI Spiezia S.p.A, 결어로 되어 있다. 그 속에 중소기업의 역할 강화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모색하는 토론행사의 발표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 특히 이 글에서 중소기업에게 혜택을 제공한 유럽지향기업전략과 다양한 지원메커니즘으로 인해 혁신프로젝트들이 상당한 경제적 영향을 미쳤음을 보이고 있다. 또한 효율적이고 잘 조정된 R&D 정책이 유럽의 성장과 경쟁력에 핵심이 된다는 점과 주요국의 대표적 프로젝트가 연구개발 아젠다를 기획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프로젝트에 대해 유럽연합 6차 프레임워크 프로그램의 재정지원, 국내외 연구기관-대학과의 협력 및 파트너십이 이루어졌음이 강조된 점이 주목된다.

○ 신 슘페터경제이론에서는 중소규모의 기업보다 대규모기업이 더 큰 혁신 잠재력을 보유한다는 가설이 제시, 지지되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이 대규모기업보다 R&D 지출이 크고 혁신적인 활동을 하며 급속한 혁신은 대규모기업보다 중소기업으로부터 창출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신생산업인 경우 중소기업이 혁신적일 수 있다는 관점이 주장되고 있다. 오늘날 중소기업의 R&D는 국제시장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고 국제시장은 중소기업의 혁신을 필요로 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국가경제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져 전체산업의 99.8%, 고용의 86.5%, 생산의 48.6%를 차지하는 등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핵심축이 되고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육성은 국민경제의 최대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 글에서 시사된 바와 같이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성장동력 산업으로 적극 육성하고 기술혁신을 지원하는 정책조치가 필요하다. 아울러,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육성시책은 경쟁과 혁신이 주도하는 시장친화적 정책패러다임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저자
European Commission and OSE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8
권(호)
잡지명
European Commission and OSEO(report)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68
분석자
장*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