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구온난화가 수자원 및 수리환경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 IPP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7)에 의하면, 지난 100년 동안 지구의 평균기온이 0.6℃ 상승했다고 한다. 지구온난화의 영향은 북극해 빙산 융해, 빙하와 만년설의 융해, 영구동토의 융해, 해수면 온도 상승, 홍수, 극심한 가뭄, 생태계 변화, 해수의 산성화 등을 들 수 있다.

○ 지구온난화로 북극권의 만년빙이 녹아 2008년 9월, 2개의 항로(북동 및 북서)가 처음으로 동시에 개통됐다.

○ 시베리아나 알래스카의 동토도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고 있다. 약 35년 전에 시작한 미국 플로리다대의 연구에 의하면, 동토의 융해로 현재 많이 자란 식물이 왕성하게 탄소를 광합성으로 흡수하고 있지만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탄소가 훨씬 더 많아졌다. 왜냐하면, 동토가 깊숙이 녹으면서 미생물이 수천 년 전에 쌓인 유기물을 분해했기 때문이다. 이 탄소로 지구온난화는 더 가속될 것이라고 한다.

○ 외신(2009년 3월 25일)에 의하면, 이탈리아와 스위스 양국은 지구온난화로 알프스산맥의 빙하와 만년설이 점점 사라지자 마터호른 인근 국경선을 변경하는 협의가 추진 중이라고 했다. 기존 국경선은 1861년 양국이 마터호른의 가장 높은 곳에 있는 빙하와 만년설을 기준으로 정했다.

○ 2020년까지 기온이 1~2℃ 상승하면 세계인구 중 4~17억 명이 물 부족에 시달릴 것이라고 한다.

- 그래서 각국에서는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두고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 이와 관련한 우리나라의 연구 중 한 예를 들면,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4)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모형 개발: 물 관리 부분을 중심으로”다. 이 연구의 주목적은 기후변화에 의한 수자원 공급능력 변화와 물 수요증가로 발생할 수 있는 물 부족 등을 예측하는 데 있다.
저자
Zekai Se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57(2)
잡지명
Environmental Ge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21~329
분석자
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