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러스트 수의 연안생태계 교란
- 전문가 제언
-
○ 선박이 부력을 조절하기 위해 싣고 방출하는 밸러스트 수는 엄청난 양의 해수와 청수를 싣는 과정에서 그 지역 고유의 생물 종을 포함하게 되고 목적지 생태계에 이를 방출하므로 토착생태계 외래 생물 종 침입교란의 큰 위험요소다.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외해의 해수는 연안 해수에 비해 생물 종의 밀도도 낮고 생물 종의 생태계 교란 강도도 낮으므로, 선박은 외해에서 연안 해수를 외해 해수로 바꾸는 밸러스트 수 교환을 실시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 밸러스트 수 교환의 생물 종 제거 효과를 검증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미국 서북 해안 시애틀 부근 해협에 7년간 입항한 모든 선박의 밸러스트 수의 염도, 온도, 선적 지역, 교환 지역, 동물플랑크톤의 종별 분포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였다.
○ 세계 10대 무역대국인 우리나라의 여러 항구에도 매일 세계 각지에서 출발한 수많은 각종 선박이 막대한 양의 밸러스트 수를 쏟아내고 있다. 외국에서 온 선박들이 외해에서 충실하게 밸러스트 수 교환을 하고 왔는지, 배출되는 밸러스트 수에는 어떤 외래 생물 종이 있어 우리 해양과 연안 생태계를 위협하는지 치밀한 추적과 연구가 필요하다.
○ 지금과 같이 선박의 밸러스트 수 교환 시행 여부를 선박의 일방적인 서면 보고에 의해 인정하고, 밸러스트 수의 염도검사를 선별적으로 실시하는 것은 문제가 많다. 선박의 밸러스트 수의 교환시행보고서는 불성실하게 작성될 수도 있고 조작될 수도 있으며 이를 확인할 방법도 없다. 또한 많은 밸러스트 수 선적 항구의 연안 해수 염도가 외해 해수에 못지않게 높으므로 염도는 밸러스트 수 교환 실시 여부의 믿을만한 판정지표가 되지 못한다.
○ 연안수와 해양수를 구별할 수 있는 화학 추적제를 사용해서 밸러스트 수 교환 시행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아직 실용적이지 못하고 화학제에 의한 추가오염의 우려가 있다. 이 논문에서 언급된 플랑크톤을 통해 판정하는 방법은 가장 합리적이고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 생각한다.
- 저자
- JEFFERY R. CORDEL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19
- 잡지명
- Aquatic Conservation: Marine and Freshwater Ecosystem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22~343
- 분석자
- 윤*량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