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국 바이오파워산업의 현재조직-미래 바이오에너지 산업의 골격

전문가 제언
○ 바이오매스는 에너지자원으로서의 이용에 대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원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석유 및 석탄과 같은 화석자원은 멀지 않은 장래에 고갈과 동시에 지구의 환경오염과 기후변화에 대한 원인으로 지목받게 되어, 이를 대신할 에너지원으로 바이오매스의 이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셀룰로오스를 원재료로 하여 바이오에너지산업을 개발하는 것에는 많은 도전과 직면하게 되는데, 이 중에서 제일 문제되는 것은 공정기술의 향상과 환경 이득에 대한 규명이다. 비 기술적인 문제로서는 바이오매스를 기반으로 한 조직을 들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국의 바이오파워 산업에서의 비 기술적인 문제점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최근의 바이오파워 산업의 조직은 미래의 바이오매스 산업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에 대한 템플릿을 제공한다.

○ 최근에 바이오파워산업에서 추진하는 바이오매스 변환기구는 수직통합시스템이다. 현재 바이오파워산업의 3/4에서는 수직통합에 의한 연료구매를 한다. 미래 바이오매스산업에 대한 현물시장의 예상효과는 최근의 데이터로서는 정당화하기 힘들다.

○ 본고에서는 첫째로 바이오매스와 바이오산업을 기반으로 한 조직문제에 초점을 맞춘 문헌조사, 둘째로는 최근의 미국에너지정보국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 바이오파워 산업에 대한 광범위한 산업구조를 검토하였으며 셋째는 바이오파워생산자 조사를 근거로 최근의 바이오매스를 기반으로 한 조직기구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 국내에서는 치산치수의 일환으로 간벌이 지속되고 있다. 이들 산림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바이오에너지 개발에는 미국도 아직은 초기단계지만 화석연료를 수입에만 의존하고 있는 우리 실정을 감안하면 분명 도전할 가치는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자
Ira Altmana, Thomas Johns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33
잡지명
Biomass and Bio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79~784
분석자
손*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