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미늄합금으로 된 브레이징판
- 전문가 제언
-
○ 본 발명에서는 불활성가스 분위기에서 브레이징 플럭스를 사용하지 않고, 삽입금속으로 알루미늄합금으로 된 브레이징 판(brazing sheet)을 이용한 복합재료에 대한 제조기술을 확립하였다. 열교환기나 오일쿨러와 같은 조립품의 내부를 효율적으로 브레이징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므로 경제적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으며 자동화에 유리해 향후 생산기술에 널리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브레이징 기술을 완전히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브레이징 시에 삽입금속(즉 브레이징 재료) 중에 함유되어 있는 Mg, Si, Fe, Cu, Mn, Bi, Ti, Pb, Li, Sb, Th 등과 같은 화학성분 원소들의 영향과 젖음성(wetting) 등 품질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함유량에 대한 범위를 설정하여야 한다.
○ 삽입금속의 측면에서 브레이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모재에 대한 젖음성, 흐름성, 금속간 화합물 생성에 대한 반응성, 사용온도 범위, 접합강도, 연성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①얇은 덮개 재료층 ②중심 재료층 ③삽입되는 Al-Si합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조기술을 응용하여 최적의 브레이징 기술로 이루어진 조립품(예, 열교환기)을 개발하려면 작업 용이성, 경제성, 자동화의 용이성, 이종재질의 접합성, 모재의 변형이나 잔류응력이 거의 없도록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 용가재가 효율적으로 모새 사이에 분포되고 기공발생과 같은 결함이 방지되려면 용가재의 흐름과 모재와의 접합을 방해하는 산화물이나 오염물이 깨끗이 제거되어야 한다. 특히 토치 브레이징의 경우 주로 플럭스가 사용되고 노(furnace) 브레이징의 경우 환원성 분위기 또는 진공 분위기에서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데, 이 때 브레이징을 하기 위한 준비작업으로 정밀한 세척이 행해져야 한다.
- 저자
- ALERIS ALUMINUM KOBLENZ GMBH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8
- 권(호)
- WO20080155067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2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