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능 마그네슘합금의 신 전개
- 전문가 제언
-
○ 마그네슘합금은 밀도, 열전도율, 도전율, 비열, 진동흡수성, 충돌 변형성, 리사이클링 등에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반면 다른 금속과 접촉하면 먼저 부식이 되어 이종(異種) 금속과 접촉 시 주의를 요한다. 또한 실용화를 위해서는 변형의 이방성, 충돌 안전성, 피로강도, 응력부식균열 등의 개선이 필요한 금속이다.
○ 그러나 지구환경의 보전과 에너지 절감이라는 측면에서 자동차의 경량화는 철강부품에서 알루미늄으로, 알루미늄부품에서는 마그네슘부품으로 재료를 개질하지 않을 수 없게 되고 있다.
○ 여기서는 장기간 도쿄공업대학과 나고야기술과학대학에서 근무하던 Yo Kojima의 마그네슘합금에 대한 연구로 일본 경금속학회의 상을 수상하면서 발표한 내용의 일부를 소개하고 있다.
○ 그 내용에는 마그네슘합금에서의 희토류원소를 함유한 초고강도?내식?내열 합금의 개발, 다이캐스팅용 내열합금의 개발, 조직제어로 마그네슘합금의 가공성 및 기계적 성질 특히 마그네슘합금의 재생기술 중에서 Fe가 다량 함유되었을 때의 Fe를 제거하기 위한 본인의 시험 결과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 현재 한국은 자동차를 생산하여 해외에 수출을 많이 하고 있다. 다이캐스팅 제품은 국산화가 많이 되어 있으나 아직도 마그네슘부품 생산에는 이루지 못했다고 생각된다. 핵심부품의 마그네슘화는 기술적인 면과 생산 기술에서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 현재까지는 마그네슘합금이 회수되어 수집되는 양이 많지 않으나 좀 더 시간이 가면 사용이 끝난 폐재료가 많이 수집될 것이며 이를 재생하기 위해 재용해하면 많은 Fe가 혼입될 것이다. 이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이 해설 내용을 잘 이해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 그러한 의미에서 마그네슘에 관련된 업무를 하시는 분에게 일독을 권한다.
- 저자
- Yo KOJI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8
- 권(호)
- 58(10)
- 잡지명
- 輕金屬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526~548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