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NGH)에 의한 천연가스 수송 기술

전문가 제언
○ 전통적으로 천연가스는 액화 천연가스(LNG)로 파이프라인이나 선박으로 수송되어 왔다. 그러나 천연가스 액화공장과 수송 수단의 높은 비용문제 때문에, LNG 형태의 수송 시스템은 대형 가스유전에 한해 적용되고 있다. 천연가스에 대한 계속적인 수요 증가와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서 중소 규모의 유전도 활용되어야 할 단계가 되었으며 이를 위해서는 초기투자가 적은 수송 수단을 개발해야 한다.

○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NGH)에 의한 천연가스 수송이 주목을 받고 있다.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는 물분자와 가스분자로 구성되는 얼음 모양의 고체물질로서 영하 20℃에서 고체가 되고 하이드레이트 1㎥당 약 160㎥의 메탄이 포함될 수 있어, 천연가스를 NGH로 변환하여 수송하는 천연가스 수송이 새로운 수송 수단으로 개발되고 있다.

○ 천연가스를 다량 사용하고 있는 일본에서는 NGH 수송을 위한 시스템 연구가 2001년도에 정식으로 시작되어 실용화 단계에 들어가 있어 NGH 수송이 조속히 실현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까지의 시산에 의하면 중소 규모 가스유전의 천연가스의 단거리 수송에는 LNG 형태 수송보다 NGH 형태의 수송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 일본이 NGH 수송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은 대규모 LNG 공급원의 매장량 한계와 중소 규모의 가스전의 천연가스를 NGH로 변환하여 수송함으로써 원가 저감과 공급원 다양화를 도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LNG 수송선의 조선 경쟁에서 주도권을 한국에 빼앗긴 후 이를 만회하기 위해 기존방식과 차별화된 천연가스 수송 형태를 개발하는 것으로 평가하는 견해도 있다.

○ NGH는 LNG 형태의 천연가스 수송 시스템이 경제적으로 타당성이 없는 비교적 적은 규모의 가스유전의 천연가스 수송에 적용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장차 국내의 천연가스의 NGH 형태 공급에 대비하고 일본 등의 조선 경쟁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국내 조선업계도 NGH 수송을 고려한 선박 설계와 하역 설비 등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저자
Tatsuya Takaok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8
권(호)
73(2)
잡지명
石油技術協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58~163
분석자
이*옹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