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LCA 기반개발과 건설 산업의 지속가능성

전문가 제언
○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노력이 가시적인 목표로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차 협상대상국으로 2013년에는 감축활동에 동참해야 하므로, 현 상태에서는 구체적인 실행계획이 필요하다.

○ 이러한 실행계획을 계획하고 종합하는 것은 중앙정부의 책임이지만, 방대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업무이양과 분담이 필요하다. 특히 지자체가 참여하여야 해당지역의 활동에 대한 점검과 보완이 가능하고, 업종별로 협회단위가 참여하지 않으면 산업체의 자발적인 참여를 기대하기 어렵다.

○ 지구온난화 방지활동에는 건설업계도 예외 없이 참여해야 한다. 건설 산업에서는 건설자재, 부품결합과 전 건설과정에 대해 각각의 LCA로 평가할 수 있다. 현재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건설 산업의 LCA 실시사례가 다수 보고되었으나, 개발도상국에서는 보고된 사례가 없다.

○ 건설 산업의 LCA는 에너지 소모와 환경영향에 집중되고 있다. 외국의 건설자재, 부품결합에 대한 LCA 실시사례에서 콘크리트의 영향이 61%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목재와 세라믹 타일이 각각 14%, 15%의 내재에너지를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 건설과정 평가에서는 건물을 운영하는 단계가 가장 높은 환경부하를 배출한다고 한다.

○ 건설 산업에서 LCA를 실시하는 대상으로 주택, 상업용 빌딩, 토목구축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선진국의 사례와 같이 중소기업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지만, 구조적으로 이러한 LCA를 실시하기 어렵기 때문에 환경관련 또는 타 법률로 규제할 필요가 있다.

○ 특히 국내에서도 실내 대기환경을 규제하고 있지만, 네덜란드 주택을 조사한 사례에서 실내공기의 오염성분을 측정한 결과 라돈이 59%로 가장 높고 감마선 조사원소가 38.7%로 다음을 차지한다고 한다.
저자
O. Oritz, F. Castells, G. Sonneman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23
잡지명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8~39
분석자
이*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