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연성 태양전지 개발현황

전문가 제언
○ 이 자료는 반사광, 산란광 등의 태양광을 직접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오히려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연성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최근 동향을 소개하는 보고서이다.

○ IT 기기의 급속한 보급은 실내에서의 전력 사용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조명이나 창으로부터 들어온 태양광으로 발전되는 태양광발전 소자의 응용범위는 앞으로 크게 확대될 것이다.

○ 일본의 NEDO 태양광발전 로드맵 검토위원회의 PV2030회의에서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모듈 효율과 태양전지 효율의 목표로서 각기 2010년 6%와 10%, 2020년 10%와 15%, 2030년 15%와 18%를 정하고 내구성 목표로서 30년으로 정하였다. 그러나 효율과 내구성 향상 이외에도 태양전지의 출력당 가격을 수요자에게 유리하게 하여 응용범위를 넓히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 보다 넓은 파장영역을 활용하여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중접합 방식의 태양전지가 개발되어 주로 우주 개발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으나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경우는 두 가지 염료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게 파장영역을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양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도 차세대 태양전지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개발이 활발하지만 해외시장 공략을 위해서는 특허 문제가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일부에서는 개발이 진행 중인 신기술의 경우에 특허 장벽이 낮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 기술의 경우에는 원천특허가 해외에 속해 있기 때문에 앞으로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
T. Miyasak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8
권(호)
8(12)
잡지명
未來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9~24
분석자
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