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박막 태양전지의 개발동향
- 전문가 제언
-
○ 유기박막 태양전지는 환경부하가 작은 차세대 태양전지로서 기대되고 있는데 이 자료는 유기화합물 반도체의 고순도화를 통하여 유기박막 태양전지의 고효율화 가능성을 밝힌 보고서이다.
○ 유기박막 태양전지는 유기재료의 손쉬운 가공성, 다양성 및 저렴성으로 인해 기존 태양전지와 비교하여 소자 제작과정이 간단하고 저가형 혹은 차세대 유연성 전자소자의 전력원과 같은 폭넓은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 현재 미국, 일본, 유럽연합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연구역사가 길지 않지만 이미 상당한 수준에 도달해 있는 상태이다. 태양전지의 전반적인 시장과 기술발전에 비하면 유기박막 태양전지 기술은 기존의 다른 무기계 전지들에 비해 연구개발 초기단계에 있으나 최근 3∼4년 사이에 효율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
○ 유기박막 태양전지의 효율이 10%를 초과하게 되면 유연한 태양전지를 값싸게 제작하여 지붕, 벽, 창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깔이 가능하기 때문에 에너지를 생산하면서 스테인드글라스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우리나라는 태양전지 관련 산업을 녹색성장 산업의 하나로 선정하고 있으며 태양전지 개발을 국가적 과제로서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반도체 소자 개발의 기반이 구축되어 있고 실리콘 공급망이 형성되어 있어 유리한 측면이 있지만 국제 태양전지 시장이 포화현상을 보이고 있으므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술 및 시장개발 측면의 여러 가지 어려움을 극복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M.Hiramo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8
- 권(호)
- 8(12)
- 잡지명
- 未來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5~30
- 분석자
- 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