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의 질소순환 재평가 - Gaia 이론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
- 전문가 제언
-
○ 토양학자나 대부분의 환경과학자는 탄소와 질소 사이의 순환 상호작용을 정확히 알고 있지만, 전형적인 질소순환을 묘사하는 개념적 편의도에 의하면 질소순환은 다른 원소나 물 주기와의 상호작용과는 무관한 것으로 여기고 있다. 예를 들어 이질소(dinitrogen)의 기원을 고려하여 보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한 경우는 극히 드물게 나타난다.
○ 본 검토는 Lovelock의 가이아 가설이 지상의 질소순환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며 고무적인 사고체계라고 제안하고 있다. 이것은 아마도 화석연료의 연소에서 생기는 질소의 퇴적보다는 도시화나 오물관리, 동물사육의 강화 등이 더 큰 지구상의 문제이며 식물의 진화는 토양 미네랄 질소 공급역학이 국지적으로 지속될 수 있고 거의 최적을 유지하기 위한 요구에 의하여 진행되어온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그렇지만 이는 지구 전반의 탄소와 산소를 부분적으로 조절하는 기능에 불과한 것이다. 오히려 오염된 질소 침전물은 핵심적인 천연의 식물과 육지 생태계의 진화과정을 방해하고 생물다양성의 변화까지도 야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 검토는 제안하고 있다.
○ 지구와 태양계의 다른 행성 또는 그 이외의 것들과의 상호작용은 지질학적 연대에 걸친 지구 전반의 질소순환의 관점을 감안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본 검토는 언급하고 있다.
○ 이러한 사고는 대기 중의 질소 함량에 대한 잠재적인 영향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판 구조론상 지난 기간의 충돌의 장기적인 영향과 화산 분출, 섭입(subduction)을 통하여 지구 전반적인 질소의 순환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질소순환에 관여하고 있는 탄소, 산소, 물 등의 순환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다.
- 저자
- Malcolm S. Cresser, Matthew J. Aitkenhead, Ishaq A. Mia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8
- 권(호)
- 400
- 잡지명
-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44~355
- 분석자
- 김*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