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공동체 기반의 산림관리에서 얻는 생물다양성과 기후변화 이득

전문가 제언
○ 산림 벌채에 의한 탄소방출의 증가는 의미심장한 것으로 인류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온실가스의 18% 이상이 이로부터 방출되고 있다. Bali 조치계획에 따르면 미래의 기후변화 교섭의 일정상에 파괴나 산림 벌채로부터의 방출을 무조건적으로 줄여야 한다.

○ 정책적 접근방법과 저생물량의 산림 내에 탄소저장을 증대시키는 것과 연관된 장려금 제도는 이제는 강력한 잠재성이 있다. 다가올 2012년 이후의 기후변화 체제에서 합법적인 온실가스 경감 선택권으로 성공적인 협상이 이루어지고 받아들여질 것으로 보인다.

○ 공동체 기반의 산림관리(community-based forest management, CBFM)에 의하여 제시되는 제도적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인도의 저생물량 산림 내에 산림 탄소저장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833.8Tg의 탄소가 제거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 생물다양성의 회복, 접촉성의 제공, 조림지에서 자연의 재현, 인공적 화재의 관리 등에 의하여 인도에서 나타난 사례로서의 CBFM은 기후변화의 시기 동안 산림을 관리하는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적절하게 고안된 CBFM 정책은 공동체의 생계를 지탱하고 강화시켜주는 도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동시에 산림 벌채를 피하고 산림 구역과 수목의 밀도를 회복시키며 탄소를 경감시키고 전원지대에서 그 밖의 여러 유용성을 만들어낼 것이다.

○ CBFM 프로젝트로 탄소투자 기금을 지출함으로써 지역 공동체로 하여금 생물다양성과 자연의 온전성을 유지하게 하여 개발과 보존에서 경제적으로 활력 있고 매력적인 상황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청정개발 메커니즘 하에서 실제적인 투자를 하기 전에 다른 국제적 탄소기금이 가능하며 UNFCCC에 참여한 국가들에 의한 협상과 동의가 있으면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저자
Preet Pal Singh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8
권(호)
18
잡지명
Global Environmental Chang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68~478
분석자
김*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