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장수 면역과 Th1세포를 유도하는 유산균

전문가 제언
○ 유산균은 메치니코프(Mechnikov)의 요구르트 장수설을 비롯하여, 장내의 환경 개선, 면역 조절, 설사의 개선과 예방, 감염 방어, 염증성 장질환의 개선, 발암 억제,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효능이 밝혀지고 있다.

○ 입으로 섭취된 항원은 파이엘 판에서 M세포의 탐식으로 처리되지만 파이엘 판을 통과해 생체에 이용되는 입자 크기는 10~20μ이다. 면역 Th1/Th2 응답에서 Th2 유도에 따라 항원항체의 생산비율이 가장 높은 입자 크기는 lgG는 4μ, lgA 7μ로 보고되어 있다.

○ 본고에서는 유산균의 Th1 유도에서 입자 크기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유산균 입자가 1μ까지 작을수록 Cytokine 수도 현저히 생산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Th1 유도는 항원의 수확 수에, Th2 유도는 항원의 수확 중량에 의존하는 것이 밝혀졌다.

○ 유산균 사균체를 농축 건조 분말한 제품에서 유산균 본래의 입자가 1μ 이하라 해도 농축 균체를 건조시킨 분말은 물에 넣으면 입자가 서로 흡착되어 덩어리가 되어버려 위산이나 췌액에서도 선택적으로 Cytokine을 유도해서 얻는 2μ 이하의 입자는 10%에 불과하다.

○ 유산균 건조 분말 제조 시 물에 분산하기 쉬운 입자로 하는 것이 생체 내에서 선택적으로 Cytokine을 유도할 때 중요하다. 유산균의 크기로 면역을 논하는 개념은 여태까지 없었던 새로운 이론이며 면역에 있어서 유산균의 역할을 증명하는 논거로 충분하다.

○ 사람의 면역 기능은 20세를 정점으로 쇠퇴되어 나이가 많아지면 감염증의 이환리스크가 높아진다. 건강장수를 위하여 감염 방어 즉 면역력을 증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 건강유지를 위하여 장내 세균 총 구성을 좋게 하는 probiotics 개념으로도 유산균은 유익한 균임에 틀림없고, 김치를 상식하는 우리 식생활의 과학적인 우수성을 알 수 있다.
저자
Hasegawa Hideo, Kan Tatsuhik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8
권(호)
50(8)
잡지명
NEW FOOD INDU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8
분석자
최*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