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박육 대면적의 나노· 마이크로 구조체의 용융 미세전사 프로세스

전문가 제언
○ 근래 전자디바이스, 광 미디어, 의약, 생명과학, 반도체, 전자회로 등의 각 분야에서 MEMS 등의 기술을 구사하여 제품의 미세가공으로 새로운 기능을 부가하거나 고성능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또한 제조공정을 간략하게 만들어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

○ 플라스틱 미세가공품은 경량으로서 유연하고 경제적이며 풍부한 재료설계와 성형기술로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미세 요철형상을 가진 플라스틱제품의 응용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며 앞으로 큰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략 수백nm에서 수백㎛의 미세패턴을 가진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본다.

○ 용융 미세전사는 표면에 수백 nm에서 수백μm의 미세한 요철을 가지는 플라스틱제품을 생산하는 새로운 공법으로 얇은 두께를 가진 대면적의 일괄 균일전사와 높은 미세 전사성, 고아스펙트비, 낮은 잔류응력이나 무배향, 높은 생산성을 달성하고 다양한 수지(내열 광학수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적용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넓은 범위의 제품개발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또한 사출성형과 열 나노임프린트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특징이 있어 공정단축과 비용절감에도 상당한 효과가 예상되므로 조속히 실용화를 추진할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정부는 2015년까지 세계 나노 융합산업 3대 강국도약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세계 나노산업시장 15% 점유(2천3백억 불 수준) 등을 과제로 설정하는 등 나노융합 산업발전에 적극적인 지원을 계획, 추진 중에 있으며 관련 업계에서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본고는 나노기술의 산업화 응용에서 중요한 기술의 하나인 나노임프린트 용융 미세전사기술을 성형 실례와 함께 소개한 것으로 나노산업 분야에서 경쟁력 확보에 유익한 자료가 될 수 있으므로 관련분야의 관심이 요망된다.
저자
Kazuhito KISHIDA,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8
권(호)
59(10)
잡지명
表面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76~681
분석자
이*옹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