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플라스틱 개발 동향
- 전문가 제언
-
○ 화석자원인 석유의 소비증가가 자원고갈을 가속시킬 뿐 아니라 지구온난화 요인의 하나로 알려진 CO2가스 배출 증가를 가져온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생 가능한 원료로서 생물자원을 바탕으로 하는 바이오베이스 원료를 사용한 플라스틱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본고는 주로 폴리에틸렌 원료가 되는 알코올 생물자원에 있어서 사탕수수와 옥수수를 주로 하는 셀룰로오스계 자원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특히 비 식용작물인 Jatropha에 대하여 그 가능성을 기술하고 있다.
○ 식료와 경합하는 재생 가능한 원료를 사용한 플라스틱 원료로서 주된 식량 수요공급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옥수수의 폐기물이나 사탕수수의 압착가스 등 셀룰로오스에 주목하고 있다. 이들 셀룰로오스는 발효를 통해 당으로 분해되어 다시 에탄올 등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 재생 가능한 생물자원에서 얻은 원료가 석유자원에서 얻는 원료에 비하여 손색이 없음이 실증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해결되지 않은 큰 두 가지 문제가 남아있다. 첫째로 친환경적이라고 해서 비용을 무시할 수 없다는 점이고, 또 다른 하나는 이 자원이 식량이라는 점에서 식량수급과 균형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Jatropha와 같은 비식용작물을 적극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저자
- F.R ARAK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57(5)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93~98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