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건강한 상태와 자가면역 증상에서 IL-2의 전사 조절

전문가 제언
○ IL-2는 항원제시세포에 의해 자극받은 T-세포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의 일종으로 면역반응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처음에 T-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특성 때문에 T-세포증식인자(TCGF)로 알려졌다. 현재는 TH-세포의 증식, B-세포의 증식과 분화, TC-세포의 활성화, NK 세포의 활성화 등 주요한 면역작용을 조절하는 기능이 잘 알려져 있다. IL-2 유전자는 1982년 일본의 대판대학과 아지노모도사의 공동연구로 cDNA의 크로닝이 처음으로 성공하였다.

○ 유전자의 발현은 주로 전사 단계에서 조절된다. 구조유전자의 유전자발현 제어영역의 DNA에 결합하여 전사를 조절하는 분자를 전사조절인자라고 한다. 1989년 일본의 대판대학에서 interferon-β의 전사를 조절하는 IRF-1(양의 조절)과 IRF-2(음의 조절)가 고등생물의 전사조절인자로 처음 크로닝되었다. 그 후 IL-6, G-CSF, AIDS 바이러스의 tat 유전자 등의 전사조절인자가 크로닝 또는 동정되었다. 최근에는 유전자발현을 조절하는 새로운 의약품의 개발을 위한 표적분자로 이들 전사조절인자가 주목받고 있다.

○ 염색질(chromatin)은 DNA와 염기성 단백질인 히스톤, 기타 비히스톤 단백질로 구성되는 유전체 구조이다. 진핵세포의 염색질은 nucleosome이라는 기본단위로 구성된다. Nucleosome의 히스톤은 H2A, H2B, H3, H4의 4종류가 2개씩 집합된 8량체(octamer)의 원반형 core 입자를 만들고 DNA가 이 원반에 감겨있다. 이 구조로 DNA의 길이는 1/10로 압축되고 안정화된다. 세포가 정지기에서 분열기로 들어가면 염색질은 응축하여 DNA의 길이는 1/5,000로 짧아지고 염색에 의해 보다 뚜렷하게 관찰된다. 이 상태의 유전자 구조를 염색체라 한다.

○ IL-2는 면역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위한 필수적인 사이토카인의 하나이다. 최근의 연구에서 직접적으로 유전자의 전사를 촉진하거나 또는 chromatin의 재구축(remodeling)을 통하여 IL-2의 생산을 조절하는 새로운 인자들이 다수 보고되었다. 특히 전신홍반성낭창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에서 이들 인자의 작용에 대한 연구는 질병의 병인과 치료 수단의 연구에 새로운 돌파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J. C. Crispin,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8
잡지명
Autoimmunit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90~195
분석자
김*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