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 가용성 식물섬유에 대하여
- 전문가 제언
-
○ 사과를 먹으면 정장작용이 있는 비피더스균이 늘어나는 구조를 해명했는데 이것은 사과의 식물섬유에 포함된 올리고당이 비피더스균의 먹이가 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성과는 수용성 식물섬유인 펙틴 특유의 올리고당에서 아라비노오스가 3개 이상 결합된 아라비노올리고당이 비피더스균만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을 밝혀냈다.
○ 사과의 껍질에는 과육보다 훨씬 많은 펙틴이 들어있고 사과의 비타민 C 대부분은 껍질과 껍질 바로 밑의 과육에 함유되어 있는 등 영양분 및 당분 대부분이 이 부분에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껍질째 먹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사과의 껍질에 함유된 12종의 성분들인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s)라는 성분들이 암세포성장을 막고 암세포를 죽인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 식물섬유의 연구는 영양소 중심의 종래의 영양학에 영양소에는 없는 식품성분이 사람의 영양에 중요한 역할을 부여하고 있는 것을 확실하게 한 처음의 예이고 「비영양소의 영양학」의 개막이었다.
○ 현재 각종 비영양소에 각각의 영양학적 효과가 확실하게 되었고 사람의 건강유지에는 영양소와 비영양소 둘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한 것도 많은 사람에게 이해되었다. 「비영양소의 영양학」분야는 앞으로 크게 발전이 기대된다.
○ 식이섬유(Dietary Fiber, DF)는 난소화성이기 때문에 영양소 중심의 영양학에서는 주목되지 않았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DF에는 영양소에서는 달성할 수 없는 종류의 생리기능 곧 대장암, 당뇨병, 허혈성 심질환 등의 생활습관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 밝혀져 건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양소로 주목되었다.
○ DF의 생활습관병 예방효과에 대한 높은 평가는 DF의 식품 중 함량의 표시, 가공식품의 건강표시나 영양표시 제도 또는 영양소요량의 채용 등 행정적으로도 최근 눈부신 움직임이 있다.
- 저자
- Shioya dosiak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9
- 권(호)
- 52(4)
- 잡지명
- 食品工業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0~47
- 분석자
- 정*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