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에 의한 대규모 구조물 건전성감시

전문가 제언
○ 구조물의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구조물의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시스템 변수에 변화가 발생했을 때 가능한 신속히 그 변화를 파악하여 구조물의 건전성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따라서 이들 구조물을 감시하기 위한 신뢰성 있는 SHM(Structural Health Monitoring) 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 구조물의 파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물리적, 화학적 및 환경적 인자가 있는데 즉 변형, 스트레인, 온도, 바람, 습도, 염분, pH 등으로 센서로 이들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종합적으로 구조물의 건전성을 판단하게 된다.

○ 이러한 SHM은 구조물의 국부적 모니터링을 하는 로컬 모니터링 SHM과 전체구조물을 모니터링 하는 글로벌 모니터링 SHM으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에는 교량, 빌딩, 철도, 터널, 항공기 등 대형구조물의 기반시설에 대한 건전성 평가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대형구조물의 파손이나 붕괴는 대형 인명피해나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따라서 기존 센서에 의한 국부적 탐상에 의한 건전성 평가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종합적인 건전성 평가 즉 글로벌한 건전성 평가가 요구된다.

○ 최근에는 센서기술, 인공지능기술, IT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이들 첨단기술을 활용한 구조물 건전성 평가기법이 기계, 항공우주 및 토목 등의 관련분야에 광범위하게 도입되고 있다. 따라서 구조물에 대한 건전성 예측판단과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구조물 붕괴에 대한 사전조치가 가능하게 된다.

○ 따라서 첨단기술을 활용한 SHM을 대형 구조물에 응용할 때는 여러 종류의 센서가 필요할 뿐 아니라 다양하고 이종 간 및 분산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SHM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글에서 기술한 다중에이전트시스템에 기초를 둔 SHM은 이러한 기능을 가진 기술로 평가되지만 실용화에는 이 기술에 대한 검증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저자
Xia Zhao, Shenfang Yuan, Hengbao Zhou, Hongbing Sun, Lei Qi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9
권(호)
36(3)
잡지명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4900~4914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