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북이프리카와 중동지역의 고빙하작용과 탄화수소 집적

전문가 제언
○ 석유자원은 유한하고 주로 중동지역에 많이 편재해 있으며 지난 1, 2차 석유위기를 겪으면서 각국은 석유자원의 안전한 확보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현재 잠재적 석유자원은 있으나 개발이 덜했던 러시아의 시베리아지역, 중국의 서북지역, 남미의 베네수엘라, 유럽의 북해 등지에서 개발이 활발하게 되었다.

○ 원유의 성인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지질시대에 살던 생물의 유기물이 원인물질이다. 현재 대륙붕의 세립퇴적물 중에는 유기물이 7%까지 들어있는 곳이 있으며 유기물이 원유로 변하는 데는 일정한 지압(500기압)과, 지열(50~150oC) 및 기간(>100만년)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유의 근원암은 유기물을 대량 포함한 흑색 내지 흑회색 셰일이나 이암이 적당하며 환원환경에서 퇴적되어야 한다.

○ 산유층의 지질시대는 고생대 이후의 모든 지층에서 산출되나 총 석유매장량 순위는 신생대>중생대층>고생대층이며 원유를 저유층에 보존하는 데는 배사, 돔, 단층 등 구조적 유민(oil trap)과 렌즈상, 슈스트링, 초, 화성암렌즈, 부정합, 진퇴적(overlap) 등 층서학적 유민이 있어야 한다.

○ 따라서 석유가 많이 편재해 있는 중동과 북아프리카지역에서 새로운 석유부존지를 탐사하되 종래의 석유생성시대와 지질환경의 범위를 넓혀 신원생대와 고생대의 빙하와 관련된 퇴적물에서 석유탐사를 위한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비록 지역은 다르나 최근에는 석유자원 확보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북극권의 석유 매장량이 지금까지 알려진 양의 2배에 이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 본 글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고기 빙하작용에 대한 자료는 석유자원의 탐사에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구의 기후변화를 연구하는데도 중요한 참고자료가 되므로 고기빙하작용과 탄하수소 집적에 대한 본 조사연구는 화석연료로 인한 환경과 자원문제에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참고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Daniel Paul Le Heron, Jonathan Craig, James L. Etienn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93
잡지명
Earth-Science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7~76
분석자
이*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