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우주용 마이크로/나노기술 연구동향

전문가 제언
○ 우주개발에서 선두위치의 미국은 1990년대 중반부터 각종 인공위성, 추진시스템, 에너지장치 등에 이용하는 센서, 정밀측정기기, 통신용 디바이스, 태양광 배터리 등에 MEMS 디바이스를 적극 적용하기 시작하였다. 소형경량화와 동시에 고정밀?고기능을 확보하고 에너지절약이 필요한 우주개발 시스템에 MEMS가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 미국방위산업을 위한 R&D기획관리 기구인 DARPA는 그간 미국의 MEMS 기술을 선도해 왔다. DARPA프로그램의 MEMS 예산을 통해 대학의 마이크로시스템 개발 잠재력을 키우고 파운드리를 조성해 기업의 MEMS 설계 제조능력을 견인했다. 현재 NASA의 거의 모든 우주프로그램에는 RF?MEMS, 광?MEMS, MEMS 분광기, MEMS에 의한 자세 및 궤도 제어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 미국에 비해서는 다소 후발위치에 있지만 현재 미국과 우주개발에서 경쟁상황에 있는 유럽 역시, 프랑스, 영국, 스웨덴, 독일, 덴마크, 오스트리아, 스위스를 중심으로 연구기관, 대학과 기업 단독 또는 컨소시엄을 통해 유럽의 우주개발 프로그램용 RF?MEMS, 광?MEMS, 분광기, 자세제어유닛 등 MEMS 디바이스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활발히 진행시키고 일부는 실용화하여 인공위성에 탑재하고 있다.

○ 일본은 2000년대에 들어 우주항공 연구개발기구인 JAXA를 비롯 USEF(무인우주실험), JAROS(자원탐사), SERVIS(환경신뢰성실증) 등 우주개발 체제를 구축하고 R&D프로그램을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기술(예: X-ray calorimeter)에서 외국에 우위를 보일뿐 통신(RF 및 광?MEMS), 위성 자세제어(AOCS), 로켓, 위성BUS, 추진계 등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마이크로/나노기술을 응용하는 수준은 낮게 평가된다.

○ 우리나라도 이미 우주과학과 우주산업에 참여하여 인공위성을 제작하고 나로도에 위성발사 기지를 완성하는 단계에 있다. 이 보고서는 장래 우주기술경쟁에서 필요로 하는 소형경량화, 고기능/고정밀화, 고주파/광통신, 내구성, 에너지절약 문제해결을 위해 MEMS/NEMS기술대책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저자
The Mechanical Social Systems Foundati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8
권(호)
--(--)
잡지명
システム技術開發調査硏究 19-R-17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1~28
분석자
박*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