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다양화 및 안정 공급을 위한 GTL기술의 개발현황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에서 한해 소비하는 경유는 17조원 규모이다. GTL기술이 상업화되어 100% 수입에 의존하도 있는 석유 정제의 경유를 대체할 수 있다면 수입 의존도를 줄일 수 있고 에너지원 다양화와 함께 안정적인 공급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 전 세계 GTL시장에서 Sasol이나 Shell 등 극히 일부 회사가 독점적으로 GTL기술을 확보하여 부분적인 상업화에 성공하고 있으며 GTL 경유를 출시하고 있다. 카타르를 비롯한 중동국가들은 한계가스와 동반가스를 이용하기 위한 플랜트 건설을 서두르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일부 건설사가 참여하고 있다.
○ 그러나 우리나라는 핵심 GTL기술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였으나 최근에 한국화학연구원 등에서 실험 수준의 개발에 성공하였고, 우리 정부에서도 1,000억 원대의 대형 국책연구 과제로 GTL기술의 국산화를 추진하고 있다.
○ 이 글은 GTL의 상업화와 관련하여 전 세계 및 일본의 현황을 소개하고 있으며 일본의 민간 6개사가 참여하는 일본 GTL기술연구조합의 개발 방향을 알려주고 있다.
○ GTL기술에서 핵심은 에너지의 투입량을 줄이기 위한 고 활성 촉매의 개발이며 현재 코발트 촉매가 주목되고 있다. 이와 함께 선택성을 향상시킨 다 기능촉매도 가능성이 높다. 이외에 이중기능 촉매, 철 촉매 등과 지르코늄 촉매 등의 경제성을 높이기 위한 촉매 개발이 필수적인 기술개발 항목이 되고 있다.
○ 코발트 촉매는 활성을 유지하기 위해 미세결정의 크기가 최소 8나노미터가 되어야 하며 경제성을 감안하면 결정 분포도 좁혀야 하고 MgO, CeO2 등의 천이금속 산화물인 환원촉진제의 첨가도 필요하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개발을 위해서 관련 기술의 세계적인 추세를 살펴보면서 고유특허를 확보할 수 있도록 개발 방향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Yoichi NORISUG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8
- 권(호)
- 73(2)
- 잡지명
- 石油技術協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78~185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