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발효성 미생물복합체에 의한 수소생산

전문가 제언
○ 수소는 연소 생성물이 물이므로 가장 깨끗한 에너지원이다. 수소 생산을 위한 생화학적 방법으로는 크게 녹조류나 광합성 박테리아를 이용하는 방법과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발효이용 방법이 있으며 지금까지의 결과는 발효 반응의 수소 생산 수율이 광합성의 경우보다 떨어진다. 그러나 혐기성 미생물 복합체에 의한 수소 생산방법은 나름대로의 장점이 있다.

○ 발효성 미생물복합체에 의한 수소 생산방법은 상당량의 수소발생율, 연속성, 대사 생성물 발생, 산소 무제한성, 유기폐기물 이용, 공정의 비 멸균성 등의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미생물 복합체의 다양성으로 인한 생장 역학적 조정 곤란, 수소 소모반응의 억제방안 등 제한점이 있다.

○ 근래 분자생물학적 기술을 이용하여 수소 생산 미생물 집단에 대한 간접적 관찰방법이 적용된다. 이 방법은 미생물 공동체의 다양성, 성분, 및 동력학 연구를 위한 유용한 도구이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아직까지 수소 생산 미생물 복합체 이용으로 포도당 몰당 4몰 이상의 수소 생산 수율을 얻지 못하였다.

○ 최근 우리나라에서 몇 가지 획기적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대표적인 것은 광합성 박테리아 유전자를 변형하여 수소 생산 능력이 야생종보다 최대 10배나 뛰어난 박테리아가 개발된 것이다.

○ 기존 혐기성 미생물 복합체의 고유 특성으로 인한 수소 생산 공정상의 난점을 유전자변형 미생물을 사용하여 해결하는 일은 이 분야기술의 실용을 위한 돌파구를 마련하는 방안이라고 생각된다. 유전공학적 기법의 적용 연구범위를 한층 더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저자
Idania Valdez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13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000~1013
분석자
김*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