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기화학방법에 의한 동도금 모니터링

전문가 제언
.○ 최근, 첨단 반도체, 휴대전화용 인쇄회로기판의 경박단소화 추세에 따라 균일도금 신뢰성 향상을 위한 필드비어 도금기술이 중요시되고 있다. 향후 전기화학적인 실용적인 동 도금 검지기술을 도금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원가절감, 품질향상, 생산성 향상이 기대된다.

○ 토시카추 오꾸보는 종래의 CVS(Cyclic Voltametry Stripping)보다 업그레이드 된 DSCV(Double Sweep Cyclic Voltametry) 전기화학적 분석방법으로 효과적인 동 도금 검지기술을 제시하였으며, 더욱이 시료의 열 이력을 이용하여 이산화동과 일산화동 산화막의 상태변화를 확인함으로써 효과적인 균일 도금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이에 대응하여 국내 에서도 1990년 초부터 부터 인쇄회로기판 및 전해동박 제조공정에서 미세한 비어홀 첨가제를 사용한 전기동도금액 자동분석용으로 CVS(Cyclic Voltametry Stripper)분석기를 공급하고 있으며 JP TECH(주암도연)사에서도 현재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업그레이드된 첨단 분석기를 현장 맞춤식으로 공급하고 있다.

○ 현재 국내에서도 CVS 첨가제분석기를 사용하여 첨가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 동 도금(PTH)이나 전해동박 생산현장에서 도통 홀의 균일 도금과 평활화를 실현할 수 있고 유기첨가제분석을 수행하여 도금품질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첨가제의 전기화학적인 표면반응 특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면 균일한 도통 홀 도금을 실현함으로써 보다 신뢰성이 높은 국산 도금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 DSCV 전기화학적 동 도금 모니터링 시스템을 인쇄회로기판이나 반도체 패키지기판 동도금액 관리에 사용될 경우 자동화에 의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종래의 CVS법에 이 기술을 상호 보완한다면 동 도금 현장 도금액의 효과적인 제어와 제조원가 절감과 생산성 향상, 품질 향상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Toshikazu OKUB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8
권(호)
59(12)
잡지명
表面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857~862
분석자
김*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