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호식(간호식)의 현상과 과제
- 전문가 제언
-
. ○ WHO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7% 이상은 고령화 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1% 이상을 초고령사회로 구분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9.5%로 고령화 사회를 지나 고령사회로 다가가고 있다. 일본은 2007년 고령화율 20.8%로서 초고령화사회로 접어들었다.
○ 일본은 저작?연하기능이 쇠퇴한 고령자들을 위한 식사를 개호식(介護食)이라 칭하고 1988년부터 개발하여 왔다. 일본의 고령자용 식품은 슈퍼 등 소매점은 물론, 도매, 병원, 고령자 복지시설, 급식, 택배 등 식품 시장을 형성하고 다른 식품에 비하여 건실한 성장을 나타내고 있고, 특히 1990년대 후반부터 재택개호의 증가를 예측하여 식품 대기업이 참여하여 활발한 성장세를 유도하고 있다. 일본개호식품협의회는 “유니버설디자인 푸드”를 일반 소비자에게 보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일본의 특별용도 식품에는 병자용 식품, 임산부 및 수유부용 분유, 유아용 조제분유, 고령자용 식품, 특정보건용 식품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 중 고령자용 식품에는 저작 곤란자용 식품과, 저작 및 연하 곤란자용 식품이 있다.
○ 저작 및 연하 곤란자용 식품의 경우, 경도?점성 등 역학적 물성에 따른 구분이 안전성을 위하여 대단히 중요하다. 이러한 물성의 측정 방법으로서, sol 상 및 gel 상 식품의 팽윤?호화?식감 상태를 측정하는 기기로서 Bravender Viscograph, Rapid Visco Analyzer, Bravender Parinograph, Texturometer 및 Texture Profile Analyzer(TPA) 등 시험기가 사용되고 있다.
○ 2008. 7 노인 장기요양 보험의 시행으로 한국의 실버산업은 일본보다 발달이 늦은 것이 사실이나, 고령자의 영양보충 형 상품뿐만 아니라 저작 및 연하 곤란자용 식품 등 특수용도 식품을 가정이나 시설 내에서 레스토랑의 맛을 즐길 수 있는 노인 식은 앞으로 수요가 확대될 것이다. 이에 대비하여, 특별용도 식품에 관한 용어의 정의, 분류 및 분석 매뉴얼 등이 조속히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Oogosi Hir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9
- 권(호)
- 52(2)
- 잡지명
- 食品工業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0~26
- 분석자
- 최*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