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계 초전도선재의 기초와 개발현황
- 전문가 제언
-
○ 1986년 Bednorz와 M?ller[2]가 La계 산화물을 발견하였고, 1987년 Chu[3] 등이 La을 Y으로 치환함으로써 Y-Ba-Cu-O계 고온 초전도체의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고가의 액체헬륨을 사용해야 하는 저온 초전도체는 그 활용이 극히 제한되고 있으나, 전이온도가 90K 이상인 YBa2Cu3O7-x(Y123) 산화물 초전도체의 경우 저렴한 액체질소를 사용할 수 있어 초전도체의 실용화에 획기적인 전기가 되었다.
○ 초전도 선재를 변압기에 적용하면 초전도 재료가 갖는 고전류 밀도 특성과 저손실 특성을 이용할 수 있어 권선과 철심의 단면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변압기의 대폭적인 소형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초전도 변압기는 최근 수요 증가에 수반하는 변압기 수요증가 및 변전소 신설에 유리하게 대응할 수 있고, 초전도 케이블과의 동시 이용으로 변전소나 빌딩 등에서의 조기 실용화가 기대된다.
○ 최근 개발되고 있는 Y계 초전도 선재는 고자계 중에서의 임계 전류가 크고 선재를 가늘게 만드는 세선화에 의한 저교류 손실화 및 저비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21세기 고도의 정보통신사회는 보다 친환경적이며 고품질의 전기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수급할 뿐만 아니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주요 전력기기 개발 능력의 확보가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것으로 전망된다.
○ 초전도재료의 전력 분야 응용의 경우, 미국, 일본, 독일 등에서 이미 실 용화를 위한 모델기가 개발되어 시험 단계에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아직 실용화를 위한 모델기도 개발해본 사례가 없으나 21C프론티어 사업의 하나로 착수된 <차세대초전도응용기술개발사업>은 초전도산업시대의 국제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디 정부, 학계 및 산업계가 협력하여 실효성 있는 연구개발이 촉진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Izumi Teru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79(4)
- 잡지명
- 金屬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11~317
- 분석자
- 김*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