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박막 트랜지스터 고기능화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응용
- 전문가 제언
-
○ 유기 일렉트로닉스는 유기재료에 직접 전기를 흘리거나 전기신호를 받는 것, 액티브(active) 소자로의 유기재료를 응용하는 것이다. 실제로 지금까지의 일렉트로닉스를 뒷받침해 온 반도체기술에서도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가 되는 유기재료가 이미 큰 공헌을 하고 있다.
○ 유기박막 트랜지스터(OTFT; organic thin film transistor)는 플라스틱 기판의 내열온도 이하에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로의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더욱 반도체, 절연막, 전극 등 모든 재료를 잉크(ink)화하여 도포?인쇄로 형성할 수 있고 전자종이의 백 플레이(back play)나 RFID 태그 등을 낮은 재료 소비?높은 생산성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 본 문헌에서는 저분자계 및 고분자계 유기반도체를 사용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에 있어서 게이트(gate)절연층 표면이나 유기반도체층과의 계면 및 전극과 유기반도체층과의 계면제어가 성능향상에 어떻게 중요한가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또한 유기 TFT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의 응용사례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 최근 연구자들은 모든 공정을 도포?인쇄로 형성한 톱 게이트(top gate)형 유기 TFT를 시험 제작하였다. 톱 게이트형 유기 TFT는 반도체층과 게이트 절연막층을 연속적인 프로세스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청정계면 형성이 가능하고 높은 이동도가 기대된다. 또한 게이트 전극 인쇄에는 생산성이 높은 인쇄법인 스크린 인쇄를 사용하였다.
○ 포토닉스(photonics) 고분자의 잠재능력을 아직 충분히 발휘하지는 못하고 있다. 포토닉스 고분자 분야의 발전이 활약할 수 있는 무대를 맞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학술적으로 고분자 물질학과 포토닉스 사이에 아직은 큰 벽이 있다. 산업적으로는 화학분야, 성형가공분야, 광학디바이스?전기 분야, 각각의 분야 사이에 벽이 존재한다. 신규 포토닉스 고분자 디바이스의 개발?실용화를 위해서는 디바이스의 동작원리?설계, 대량생산을 전제로 한 성형방법 등을 충분히 이해하면서 포토닉스 고분자를 제안하고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Shizuo Tokitoh, Tokiyoshi Umeda, Daisuke Kumak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8
- 권(호)
- 56(6)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7~32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