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원소 함유 공액계 고분자
- 전문가 제언
-
○ 고분자과학은 항상 진화하고 있다. 20년 전에는 고분자 과학의 관심이 새로운 고성능 재료를 개발하는 데 있었다. 현재의 관심 대상은 기능성을 가지면서 정밀하게 제어된 구조에 있다. 이를 달성함으로써 새로운 기회가 생기는 영역으로는 유기 전자 디바이스, 바이오고분자, 관전지, 센서, 목표지점 약물 방출 등이다. 그중 대표적인 고분자물질의 하나가 공액고분자, 더 나아가 유기-무기 복합 공액고분자이다.
○ 주쇄에 무기원소를 함유하는 구조를 갖는 고분자는 독특한 특성으로 인하여 최근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새로운 고분자 합성기법을 개발함으로써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고분자를 만들 수 있게 되어 기존의 구조로서는 얻기 어려운 독특한 구조가 가능하게 되었다. 지난 10여 년간 많은 창조적 합성 방법에 의해 이들에 대한 합성상의 장애가 극복되었다.
○ 유기 공액고분자는 광학 및 전기적 특성을 갖기 때문에 학문적으로나 기술적으로 특별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규소, 질소, 황을 주요 그룹 원소를 사용하여 합성한 다양한 공액고분자가 등장하였다. 본 문헌에서는 규소, 게르마늄수소화물, 주석, 붕소, 인, 비소, 안티몬을 함유한 유기 공액고분자의 최근 진전에 대하여 살펴본다.
○ 폴리티오펜 등 방향족 복소환을 함유한 고분자나 폴리(페닐렌술피드)나 폴리아닐린 등, 주쇄에 헤테로원자를 가지고 있는 폴리페닐렌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광?전자 기능재료로서 중요하다. 또한 규소화학을 기반으로 한 폴리실란이나 규소 함유 고분자는 발광재료?캐리어 수송재료로 하는 응용 전개가 왕성하게 진행되고 있다.
○ 한국에서도 이와 같은 분야의 연구가 선진국 못지않게 활발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산업은 세계 최강 중의 하나이다. 이들의 환경을 융합하여 세계적으로 획기적인 상업화를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 저자
- Kensuke Nak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8
- 권(호)
- 57(9)
- 잡지명
- 高分子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772~777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