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기닌의 특성과 개량연구 동향
- 전문가 제언
-
○ 근래에 세균, 미세조류 및 해초류와 같은 해양 미생물이 귀중한 천연자원으로 등장하였고, 특히 해양생물의 독특한 탄수화물이 관심을 끌고 있다. 홍조류에서 추출하는 카라기닌은 D-갈락토오스와 3,6-anhydro-D-galactos 등으로 이루어진 선형 다당류이다. 카라기닌의 주산지는 필리핀인데, 연간 약 25,000톤을 생산한다. 카라기닌은 출처에 따라 Iota(ι)-, Kappa(κ)-, Lambda(λ)-, Mu(μ)-, Nu(ν)- 및 Theta(θ)-의 여섯 가지 기본형태로 나뉘는데, 상업적으로 중요한 것은 ?-, κ- 및 λ-카라기닌이다.
○ 카라기닌은 식품산업에서 식품의 점착성과 점도를 늘리고 유화 안정성을 높여준다. 식품의 물성과 촉감을 향상시키는 이러한 물리적 특성을 이용해 증점제, 겔화제 및 안정화제로 널리 쓰인다. 식품산업에서 전 세계 생산량인 45,000톤의 70~80%를 사용하며 제약, 화장품, 인쇄 및 섬유 산업에도 쓰인다. 현재, 연간 3억 달러 정도의 세계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 카라기닌의 황산염 함량에 대한 공식 측정법은 산으로 황산 에스테르를 선택적으로 가수분해하고, 황산바륨으로 침전시킨 다음, 혼탁도 측정법으로 무게를 재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손이 많이 가고 시료가 많이 필요하다. 이를 대체하는 방법으로는 원소분석, IR 분광분석, 메틸화 분석 및 핵자기 공명법 등이 등장하였다.
○ 최근 JECFA에서는 카라기닌이 인체에 안전하다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카라기닌함유 식품의 안전성 시험에서 저분자 카라기닌은 실험동물에게 종양과 궤양을 유발시켜, 사람에게도 잠재적 위험이 있다는 결과도 보고되었다.
○ 카라기닌은 장차 새로운 의약품의 값싸고 귀중한 원료가 될 것이다. 항종양, 면역조절, 지방억제, 항응고 및 항바이러스 활성 등을 구명하여 HPV, AIDS 등의 치료에 적용하려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HIV, HPV치료 및 비만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분자구조의 개선 및 병용요법과 같은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저자
- Vanessa Leiria Campo, Daniel Fabio Kawano, Dilson Braz da Silva Jr., Ivone Carvalh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9
- 권(호)
- 77
- 잡지명
- Carbohydrate Polymer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67~180
- 분석자
- 김*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