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분해경로의 문지기 HSPs: 노인성황반변성(AMD)과의 연루
- 전문가 제언
-
○ 노인성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은 눈의 망막 중에서도 초점이 맺히는 가장 한가운데 부위인 황반이 퇴행하여 그 기능의 소실과 이와 관련된 부작용으로 실명에 이르기까지 하는 질환이다. 젊은 사람들한테 일어나는 황반의 퇴행위축도 황반변성이라고 가끔 부르지만 AMD는 50세 이상의 노인에서 나타나는 노인성 질환을 말하는 것으로 이는 노인의 실명 중 가장 주된 원인이 된다.
○ 망막의 면적에서 황반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5%에 불과하지만 이는 전체 시야 중 약 35%의 비율(중심부분)을 담당한다. AMD에서 시야의 나머지 65%(가장자리 부분)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므로 AMD로 완전실명까지 이르는 경우는 많지 않으며 대부분의 경우는 얼마간의 시각을 유지한다. AMD 환자는 대비감도(contrast sensitivity)의 소실로 인하여 사물의 윤곽, 그늘 및 색각(color vision)이 명확하지 않게 된다.
○ 지방갈색소(lipofuscin)는 리소좀에서 소화된 지방-포함 잔류물로 구성된 황갈색 색소과립에 붙여진 이름으로 이는 간, 신장, 심근, 신경세포 등에서 소모(wear and tear)성 색소로, 노화의 지표로 알려진 물질이다. 황반의 망막색소상피(Retinal Pigment Epithelial, RPE)에서 리소좀의 lipofuscin 응집의 축적은 RPE의 세포퇴행을 가져오고, 이는 AMD의 가장 두드러진 위험인자로 인식된다.
○ 세포가 열, 저온, 산소결핍 등등의 스트레스를 받으면 HSPs(Heat Shock Proteins)의 발현이 유도된다. 이는 세포의 생존을 위해 스트레스로 변성된 단백질에 대한 조치(단백질의 folding, 적절한 입체구조의 확립, 유해한 단백질응집의 방지 등등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를 취하는 chaperone의 역할이다. HSPs는 또 정상조건의 세포에서도 단백질의 상태를 계속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 이 리뷰는 눈의 망막의 RPE 세포에서 스트레스로 인해 형성된 변성단백질에 대한 HSPs의 조치능력이 한도를 초과하면 세포에 손상이 오고 이러한 세포퇴행이 시각장애로 이어진다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 저자
- Kaarniranta, K,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9
- 권(호)
- 8
- 잡지명
- Ageing Research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28~139
- 분석자
- 강*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