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분자-베시클 회합체

전문가 제언
○ 극성 또는 양친매성 고분자와 분자량이 크지 않은 양친매성 화합물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용하는 기술은 이미 널리 산업화되어 수성 페인트, 세정제, 각종 생활용품, 기름 회수 유체 등 수용성인 고분자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제품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 한편 생체계나 생체공학에서는 극성 지질과 핵산, 단백질과 다당류와 같은 고분자와 사이의 상호작용은 생물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최초로 베시클계로 연구된 것은 인지질로, 이 극성 지질은 대부분 2층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인지질의 라멜라 상의 분산계로부터 베시클 상이 만들어진다.

○ 생물체 세포의 세포막은 극성 지질의 2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베시클은 세포막을 모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대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지질을 연구하는 생명과학과 계면활성제의 활용을 목적으로 하는 유기합성분야는 학문적으로 서로 독립된 길을 걸어 발전되어 왔는데 계면활성제는 주로 활용 면에 치중하여 발전해왔고 지질과학은 생물학적이나 바이오기술에 주력을 두고 발전하여 왔기 때문에 서로의 학문적 결과의 교환이 없이 계면활성제는 주로 수용성 양친매성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왔고 지질은 비수용성 물질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왔다.

○ 연구결과의 중첩이 불가피하게 일어나게 되었다. 본고의 필자는 이 시점에 이러한 문제를 불식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먼저 고분자-계면활성제계에서 작용하는 힘과 기구를 고찰하고 다양한 종류의 양친매성 물질이 조직화에 의해 생성되는 2중층 구조를 가진 베시클을 조망한 후 생명과학과 관련이 깊은 DNA 또는 단백질이 고분자로 사용되는 고분자-베시클 회합체의 특성과 베시클 네트워크의 형성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본고는 천연, 합성 고분자와 지질,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모든 고분자-베시클 회합체에 대해 폭넓은 해설을 제공하고 있어 이 분야 연구자들에게 귀중한 연구의 지침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Filipe E. Antune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147
잡지명
Advances in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8~35
분석자
마*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