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미셀 성장에 미치는 소수성 반대이온의 영향
- 전문가 제언
-
○ 50여 년 전에 Gravsholt가 salicylate 이온과 같은 반대이온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용액에 첨가하면 뚜렷하게 점탄성 거동이 나타남을 보고하였으며, 이후 점탄성의 발현 원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이러한 현상은 소수성 반대이온에 의한 미셀의 크기와 형태의 변화에 기인되는 것임이 밝혀졌다.
○ 그 후 Hoffmann 등은 dodecylpyridinium과 tetradecypyridium 양이온과 benzenesulfonate, toluenesulfonate, aminobenzenesulfonate, benzoate와 alkylsulfonate로서 탄소사슬의 길이가 3개 이상인 반대이온으로 이루어진 계의 미셀성장을 검토하고, 메틸렌기가 3개 이상인 소수성 반대이온은 이온성 미셀과 강력하게 작용하여 임계 미셀농도를 감소시키는데 이는 반대이온의 소수성에 의존됨을 밝혔다.
○ 계면활성제 용액 중의 미셀의 성장은 소수성 반대이온과 계면활성제의 혼합비, 소수성 반대이온의 소수성의 정도와 구조에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파라미터를 조절하면 막대기형의 미셀, 베시클 상의 형성도 가능하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 소수성 반대이온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미셀 용액과 혼합하면 미셀의 마이크로구조가 다른 모포로지로 전환된다. 본고는 친수성과 소수성 반대이온이 미셀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반대이온의 소수성과 구조와 다른 소수성 반대이온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 마지막으로 서로 다른 이성질체인 히드록시 나프토익산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cetyltrimethylammonium hydroxide로부터 얻어진 결과를 비교하고 소수성 반대이온의 마이크로 환경이 상 거동, 유변학적 거동과 미셀의 마이크로 구조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한 최근의 연구결과를 보고하고 있는데, 이 방면의 연구는 세포막의 작동기구와 기능에 관련된 기초 자료로서 바이오연구자에게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 저자
- Rami Abdel-Rahem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8
- 권(호)
- 141
- 잡지명
- Advances in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4~36
- 분석자
- 마*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