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플라스틱 생산을 위한 미생물공장
- 전문가 제언
-
○ 요사이 세계적으로 지구환경 보전에 대한 관심이 급속하게 높아졌으며 석유 등의 화석연료에 의존해 온 화학 산업은 미생물 등의 생체촉매를 이용하는 산업 ‘화이트 테크놀로지’로의 기술혁신을 강요당하고 있다.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용한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모든 유기합성 산업에서 중요한 과제로 삼는 시대가 되었다.
○ 생물의 최소단위인 세포 내에서는 다양한 생체 분자에 의해 정밀하게 진행되는 다종다양한 화학반응이 진행되는데 각각의 반응이 효소에 의해 서로 조화롭게 운영되어 생명시스템을 지지하고 있다. 즉 세포는 마이크로 크기의 정밀한 화학공장이라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 최근 유전자공학 기술의 발전, 게놈해석 정보의 축적과 생체촉매인 효소의 기능 해명에 따라서 불투명했던 속살이 분명하게 밝혀졌다. 이로부터 마이크로한 미생물 공장의 내부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미생물의 효소를 이용하여 바이오 고분자를 생산하는 제조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 본고에서는 미생물에 의해 합성되고 분해되는 바이오 플라스틱, 특히 폴리히드록시알칸(PHA)의 제조와 물성 및 활용에 대해 해설하고 있는데 앞으로 고갈이 예상되는 석유자원을 대체하는 폴리에스테르 고분자의 생산시스템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연구 분야는 공학과 미생물학의 학제적인 공동연구를 통하여 추진되지 않으면 효율적인 연구의 추진이 불가능하다. 빠른 시일 내에 우리도 이러한 공동 연구 시스템을 확립해야 한다.
- 저자
- M. Yamad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8
- 권(호)
- 64(11)
- 잡지명
- 纖維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65~370
- 분석자
- 마*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