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가전제품의 리사이클성 평가법

전문가 제언
○ 일본은 폐 전자제품 등에서 금, 은, 동 등 귀금속을 추출하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자원의 재활용 율이 크게 증가하였고 최근 금속 등 원자재 값이 앙등함에 따라 폐 전자제품 등 이른바 도시광산(urban min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최근에는 폐 휴대폰의 반납에 금전혜택을 주면서 휴대폰 리사이클 정책도 시행하고 있다. EU에서는 전기전자제품 폐기지침인 WEEE(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를 실시하여 2007년부터 가전제품별로 재생, 재사용 및 리사이클 비율을 50~80%로 설정하여 준수토록 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폐 전자제품에 있는 귀금속을 포함한 유가금속의 회수를 위해서 전국에 5개소의 대형 리사이클 센터를 운용하고 있으며 하반기에는 국가적인 폐 전자제품의 수거대책을 추진 중이다.

○ 이 글은 일본에서 가전 리사이클법의 지정품목이 아닌 PDP TV에 대해서 향후 리사이클에 대비하여 리사이클 비용과 가능비율을 분석하고 지정품목 편입에 대한 대비책도 제시하고 있다.

○ 우리도 환경부의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과 전기전자제품의 재활용 의무이행에 관한 업무처리지침 등에 따라 재활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2012년도의 장기 재활용 목표율로 텔레비전 0.210, 냉장고 0.250, 세탁기 0.300 등으로 고시하고 있는데 PDP TV나 LCD TV는 최신기종으로 폐기품이 아직 많지 않으나 명확한 목표치를 설정해 나가야겠다.

○ 아울러 PDP TV나 LCD TV는 우리의 대표적인 수출품목이지만 점차 환경오염과 자원절약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부품수를 줄여 해체비용을 줄이고 유리 등 재활용 가능한 부분을 늘려나가도록 제품 설계단계에서 전 과정의 환경영향평가(LCA)를 반영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본다.
저자
Tomohiko AKAHORI, Yasunari MATSUNO, Yoshihiro ADACHI, Noriaki YAMAMOTO, Yasuhiro HAMATSUKA and Takayuki NIS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8
권(호)
19(1)
잡지명
廢棄物學會論文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4~50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