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에 의한 자동차 경량화
- 전문가 제언
-
○ 항공기에서는 자체 중량의 경량화가 기체의 대형화를 포함하는 수송효율의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특히 기체 구조의 경량화는 엔진의 소형화, 이륙 중량의 감소 등에 기여하기 때문에 기체구조의 경량화에 큰 노력을 경주하여 왔으나 자동차업계의 경우 경량화에 비교적 소극적으로 대처해 왔다. 그러나 자동차 산업에서도 이제 지구온난화나 화석자원의 고갈에 대비한 연비의 향상에 대한 요구가 높아져 자동차 경량화가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 유럽에서는 2008년까지 약 25%의 연비 개선 목표가 설정되었으며 일본에서도 2015년도에는 평균 23.5%로 개선하는 신 연료비 기준이 책정되었다. 일본에서는 국가 프로젝트로서 NEDO(신에너지 산업기술 총합 개발기구)에 의해 ALSTECC 프로그램이 2003-2007년에 걸쳐 시행되었다. ALSTECC 프로그램에서 스틸에 대해 50%로 경량화하고 1.5배의 안전성(에너지 흡수량)을 실현하는 CFRP 차체 구조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하이사이클 일체성형 기술, 이종재료의 접합 기술, 에너지 흡수를 고려한 안전설계 기술, 리사이클 기술이 개발되었다.
○ 본고에서는 현재 일본의 국가 프로젝트로 시행된 ALSTECC의 개발 성과를 소개하고 있는데 하이브리드 카의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우리나라의 자동차 산업계에 참고할 가치가 매우 큰 보고로 사료된다.
- 저자
- E. Wadaha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8
- 권(호)
- 64(9)
- 잡지명
- 纖維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95~301
- 분석자
- 마*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