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단백질을 기반으로 하는 고분자재료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고분자인 폴리아미노산, 폴리핵산, 폴리페놀과 다당류 등은 촉매로서의 효소, 분자인식, 에너지 및 정보의 보존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몇 천만년 동안의 진화의 결과일 것으로 해석된다. 바이오 고분자가 몇 가지 안 되는 구축단위로 이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도의 특정한 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은 복잡한 3차원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 누에가 생산하는 실크 섬유의 폴리아미노산은 성충으로 변태하는 기간에 자기를 보호하기 위해 만드는 꼬치이며 인간들은 꼬치를 풀어 실크(견)섬유를 수확해 왔다. 거미는 먹이를 얻기 위해 실크를 기반으로 하는 거미줄 망을 만드는데 이의 강성은 나일론, 케블라, 누에 실크, 고강도 강철을 능가한다.
○ 견 섬유나 거미줄 섬유의 필라멘트는 피브로인 단백질이나 자연에서 주형을 사용하여 합성되므로 피브로인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배열순서는 모두 동일하나 견 필라멘트는 복합섬유로서 필라?트의 코어와 셀부분의 단백질의 아미노산의 구성이 서로 다르다. 거미섬유는 몸에 여러 개의 방사선으로부터 사용 목적에 따라 아미노산의 조성이나 배열순서가 다른 피브로인 단백질을 만들어 낸다.
○ 이들 모든 천연 바이오단백질들은 생체적합성이 있으며 항원성 및 면역성에 대한 거부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주로 생체와 관련된 용도로 사용된다.
○ 본고에서는 실크를 기반으로 하는 고분자 재료의 종류와 물성 및 이들의 다양한 활용에 대한 해설을 하고 있는데 그 활용으로 생체관련 뿐 아니라 나노분야를 망라하고 있어서 이 분야 연구자들에게 넓은 분야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저자
- John G. Hardy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8
- 권(호)
- 49(20)
- 잡지명
- Polym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309~4327
- 분석자
- 마*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