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비정질상 바이오세라믹 재료

전문가 제언
○ 인체의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생체조직은 낡고 약해지기 마련이다. 대표적인 것이 치아와 뼈이며 뼈는 탄력성이 저하되고 충격에 의하여 쉽게 부서진다. 자연노화 이외에도 사고나 산업재해로 인하여 경조직의 손상을 가져온다. 이를 위하여 인공 생체이식 재료를 개발하고 있으며 그동안 금속이나 세라믹스 및 고분자가 주로 사용되었다.

○ 바이오세라믹스용 무기재료로 수산화아파타이트, 인산칼슘, 인산바이오유리가 잘 알려져 있다. 수산화아파타이트는 생체 골이나 치아의 주요 구성 물질이다. 본래 이 아파타이트는 광물의 총칭이며 M10(ZO4)6X2의 조성식으로 표현되는 광물이다. 실제 수산화아파타이트 구조 중에 여러 가지 원소가 들어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 세라믹스 중에는 골 조직과 직접 결합하는 재료가 있으며 이를 생체활성 재료라 한다. 생체활성 세라믹스에는 Na2O-CaO-SiO2- P2O5계 유리인 “Bioglass”나 소결 수산화아파타이트(Ca10(PO4)6(OH)2), 유리를 열처리하여 제조하는 A-W 결정화 유리(A-W: Apatite-Wallastonite) 등이 있다.

○ 이 문헌에서는 골 충전 재료의 응용과 비정질 구조를 가지는 바이오세라믹으로 비정질상의 인산칼슘과 생체유리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특히 비정질상의 인산칼슘의 제조와 생체유리의 특성 및 코팅활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 국내의 바이오세라믹스 재료는 치과재료 등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거의 외국제품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시장규모는 있으나 대부분 소량 다품종 제품으로 생산하여야 하며 개발에서 판매까지는 시간과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향후 규모가 있는 기업이나 연구기관, 의공학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연구를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정부주도의 프로젝트 구성과 연구비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Atsushi Nakahi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24(1)
잡지명
ニュ-ガラス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5~21
분석자
김*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