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김용 쇼트닝 성분의 조성
- 전문가 제언
-
○ 최근 고열량, 저열량 식품의 기준과 법령을 제시함으로써 트랜스지방에 이어 제품 내 포화지방의 함량에 대한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 식품에 포함되어 있는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은 다량 섭취 시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여 심장질환, 동맥경화, 고혈압 등의 발병률을 높일 수 있어 식품업계의 공공연한 과제가 되고 있는 물질이다.
○ 많은 임상연구에서 트랜스 지방산의 인체에 대한 영향 연구에서 인체 내에서 수용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신체는 이를 자연스럽게 시스 지방산으로 인식하여 대응하려고 한다. 따라서 트랜스 지방산은 이물질로 작용하거나 세포막과 다른 부위에 축적되는 등 본래 일어나지 않아야 할 부작용을 초래하여 여러 가지 장애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 불포화지방산은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심장질환의 발병위험을 낮추는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불포화도가 높은 카놀라유, 해바라기유, 올리브유, 포도씨유의 튀김용 쇼트닝에 활용으로 많은 상품이 개발되고 있다.
○ 최근 유지의 원료인 식물성 유지의 육종이나 최신의 유전공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지방산 조성을 바꾸기 위한 연구를 해오고 있다. 육종 개발된 종자에서 직접 샐러드유 또는 튀김유로 사용되거나 다양한 형태의 가공용 유지 생산에 원료 유지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것 역시 단독으로 사용되기 보다는 분획과 같은 공정을 통해 혼용하여 사용되고 있다.
○ 지방산에서 트랜스 이성체의 존재는 그것이 용융에 미치는 영향, 지방조직에 주는 성질 및 산화안정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성공적인 트랜스 지방산의 제거는 트랜스 이성체를 단순히 제거하는 것이 아니고, 기본적으로 여러 분야의 기술을 이용해 지방과 오일의 수정이라는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이를 제거하기 위한 이상적인 지방 혼합작업에는 천연유지의 수소첨가에스테르화, 분획 등의 개선작업이 필요하다.
- 저자
- Debonte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17665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8
- 분석자
- 차*진
- 분석물
-